![]() |
경북도청 전경.=중도일보DB |
16일 도에 따르면 3대 문화권 문화생태관광기반 조성사업은 지난 2008년 5+2 광역경제권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돼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약 2조 원이 투입된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이번 계획은 '3대 문화권 사업'에 대한 도의 깊은 고민이 담겨있다.
도는 시·군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3대 문화권 사업이 경북의 관광명소로서 거듭나며, 또 그 지위와 가치를 유지할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경북을 오감(五感) 체험하는 관광명소로'를 비전으로 해 체계적인 지원, 관광 서비스·운영 역량 확충, 민-관 협업, 획기적인 홍보 등 4개 방향과 단계별 목표, 10개의 중점추진 전략과 주요 사업을 수립한 종합패키지 정책이다.
제도 면에서 체계적인 지원 및 관리· 신속한 문제점 보완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정비하고, 사업에 대한 운영 평가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그간 기초 지자체 차원에서 미진했던 지역 연계 관광 활성화를 위해, 관광 협력권을 설정하여 지역 연계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운영 역량 면에서는 시군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3대문화권 관광시설 운영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다양한 시설 운영 전략, 진흥 사업 등을 포함한 연차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관광사업 기획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관련 교육도 지원할 계획이다. 우수한 사업에는 평가를 통한 인센티브도 제공하여 시군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콘텐츠 면에서 우수한 관광기업의 진출을 적극 돕는 '민·관 협력형 관광사업 모델' 구축에 집중한다. 3대문화권 시설은 우수한 시설 인프라를 가지고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았다. 관광 콘텐츠 기업과 공간의 매칭을 돕는다면 선도적인 사례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홍보·마케팅 면에서는 기존에 추진해 오던 경북도의 공동홍보 기능을 더 강화할 예정이다. 브랜드 개발과 활용, 권역별 연계 관광코스 개발 등 지역 협력을 촉진하고, 온라인 홍보 기반도 재정비할 생각이다.
김병곤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지방소멸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관광은 사람들이 지역을 찾게 하고, 지역에 활기를 돌게 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며 "3대 문화권 사업은 경북을 대표하는 주요 관광거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고 말했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