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안에코파크㈜는 14일 동면 수남1리마을회관 앞 공터에서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초안)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
천안에코파크㈜는 14일 동면 수남1리마을회관 앞 공터에서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초안)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천안에코파크는 이날 설명회에서 2023년 기준 전국 38개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을 운영하며 매립 잔량은 약 2000만㎥로 연한이 6.5년에 불과하므로, 필수 기반 시설 조성에 타당성을 설명했다.
또 적정규모 매립장 4개지를 30년 기간 동안 단계적으로 설치 운영하는 혼합형 매립시설을 계획해 충남지역 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 기반을 마련, 환경감시 등 국내에서 가장 우수한 매립시설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주민설명회 현장에서 주민들 간 마찰을 빚기 시작하며, 정상적인 설명회가 결국 좌초됐다.
![]() |
매립장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은 설명회 전부터 환경영향평가를 부정한다며 지속적인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
반대 주민들은 설명회 시작 당시 시위를 이어가기 위해 자리를 옮기는 과정에서 참석자들과 마찰을 빚게 됐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경찰들과 뒤섞이며 설명회는 아수라장이 됐다.
게다가 북, 꽹과리 등 소음을 유발할 수 있는 장비들을 동원해 결사반대를 연호했으며, 곳곳에서 지속적인 물리적 마찰까지 우려됐다.
천안에코파크 관계자는 "빙그레 반대 의사 철회, 주민 90%가량 동의가 있지만, 무엇보다 주민 수용성 문제를 잘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업장 반경 2km 밖 동면에 거주하는 주민들과 상생할 방안을 제시하고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반대 측 관계자는 "매립장은 민간이 아닌 공공기관이 주관이 돼 관리해야 한다"며 "공단 내 법적으로 설치하게 돼 있지만, 이번 매립장은 개인회사가 이익을 위한 것이기에 환경영향평가 자체를 계속 부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찬성 측 관계자는 "현장 답사로 안전하게 관리하는 점도 봤고, 환경부나 지자체 감독 권한을 믿고 있다"며 "회사와 협약을 통해 폐유 등 유해 물질이 안 들어오는 것으로 산정하고 체결하며, 위험 상황을 당연히 거부했다"고 했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