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석탄화력 사회적수명 지방정부가 결정해야"

  • 정치/행정
  • 충남/내포

안희정 "석탄화력 사회적수명 지방정부가 결정해야"

탈석탄 에너지전환 컨퍼런스 특별연설서 제도화 제안
지방정부 에너지권한 강화…탈석탄 로드맵 공개도 요구

  • 승인 2017-10-25 14:05
  • 맹창호 기자맹창호 기자
20171025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국제컨퍼런스(덕산리솜)2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국제컨퍼런스가 25일 덕산리솜캐슬에서 열린 가운데 주요 참석인사들이 소개되고 있다. <충남도제공>
안희정 충남지사는 25일 "석탄화력발전소의 사회적 수명을 지방정부가 결정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자"고 제안했다.

안 지사는 이날 예산 덕산리솜캐슬에서 열린 '2017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국제 컨퍼런스' 특별연설을 통해 이같이 주장하고 정부의 탈 석탄 로드맵을 촉구했다.



안 지사는 '신 기후체제의 탈석탄 전환'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충남은 국내 석탄 화력의 50%가 집결하고 생산한 전기 60%를 수도권에 보내고 있다"며 "석탄화력의 미세먼지로 아이들은 마음껏 뛰놀지 못하고, 하늘은 뿌연 미세먼지로 뒤덮이기 일쑤"라고 지적했다.

이어 "에너지 정책에 대한 지방정부의 권한이 강화돼야 한다"며 "석탄화력의 사회적 수명을 지방정부가 결정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자고 제안한다"고 밝혔다.



도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 책임을 진 자치단체가 시설 노후화에 따른 환경 오염 우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주장한 것으로 에너지 정책의 주민 의사가 반영을 촉구했다.

중앙정부는 탈 석탄 로드맵과 에너지 공급체계의 지역 분산형 전환도 제안했다.

안 지사는 "발전소 주변 주민이 사회·환경적 피해를 떠안고, 수익과 편익은 외부 투자자와 도시민들이 누리는 낡은 전력 수급체계는 지역 분산생산과 소비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며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전환 기금을 조성해 지방정부가 재생 가능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발전시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안 지사는 "20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가 온실가스 감축에 합의했고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37% 감축을 목표로 잡았다"며 "탈 석탄을 위한 국내·외 지방정부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자"고 강조했다.

2025년까지 석탄 화력 전면 폐쇄 목표를 밝힌 영국이나 2014년 석탄 화력을 전면 폐지한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같은 탈 석탄 실천 국가 및 지방정부의 경험과 지혜를 나눠야 한다는 주장이다.

탈 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국제 콘퍼런스는 국내·외 탈 석탄 정책 동향을 공유하고, 친환경 에너지전환 실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충남도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와 함께 마련했다.

개회식에는 김은경 환경부 장관, 어기구·한정애 국회의원, 배어벨 호엔 전 독일 연방의회의원, 국내·외 에너지 전문가 등 400여 명이 참석해 정책사례 발표와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첫 세션에서는 '친환경 에너지전환의 금융투자 동향 및 발전회사의 전환 사례'를 주제로 미국 오일체이지 알렉스 두카스 선임운동가와 에넬그린파워 정구윤 싱가포르 법인대표가 나서 '세계 탈 석탄 동향과 금융투자 흐름', '발전회사 에넬의 탈 석탄 경험과 시사점'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국내외 탈 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정책사례의 두 번째 세션에서는 환경부 안중기 사무관이 '미세먼지 종합대책과 친환경 에너지전환'을, 알아르 멘다리츠 미국 시에라클럽 탈 석탄 전문가가 '텍스스주 탈 석탄 현황과 쟁점'을 소개했다.

이어 스테판 타슈너 독일 베를린 연방의회 에너지 정책 대변인이 '베를린 탈 석탄 계획과 지방정부의 역할'을, 이군 중국 허베이 성 사회과학연구소 농촌경제발전연구소 연구원이 '허베이 성 탈 석탄 계획과 에너지 사용구조 개선'을, 신동헌 도 기후환경녹지국장이 '충청남도 친환경 에너지전환을 위한 노력'을 각각 발표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