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을지대병원 심장내과 강기운 교수, 을지대 예방의학교실 장석용 교수 |
을지대병원 심장내과 강기운 교수와 을지대 예방의학교실 장석용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 데이터를 토대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쯔쯔가무시 환자 23만3473명에 대상으로 감염 이후 심장질환 발생 여부와 관련 사망률을 전수 조사한 결과다.
전체 환자 중 2402명(1.03%)에서 쯔쯔가무시 발병 이후 기존에 없던 심방세동(정상범위를 벗어나 불안정하게 뛰는 심장 박동)이 새롭게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심방세동이 새로 나타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급성 심부전과 허혈성 심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각각 4.1배, 1.9배가량 높았고 이렇게 급성심부전과 허혈성 심질환이 나타난 환자들은 감염 이후 3개월 이내 사망할 가능성이 각각 2.4배, 13.7배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향후 쯔쯔가무시 환자의 새로운 심방세동 발생 여부를 통해 치명적인 심혈관질환 합병증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해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기운 교수는 "심장질환과 돌연사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에게서 쯔쯔가무시로 진단하는 경우가 수년간 반복 관찰하면서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며 "심장 합병증 발생을 조기 진단하기 위해 중증 쯔쯔가무시 감염병인 경우나 기존에 심장질환을 갖고 있던 환자가 쯔쯔가무시에 감염된 경우 항생제 치료 중에 지속적인 심전도 검사가 중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진 이 연구는 ‘쯔쯔가무시 감염병에 있어 치명적인 심장병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새로 발생된 심방세동이 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제목으로 권위 있는 심장학의 SCI 국제학술지 'Clinical Cardiology'에 게재됐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