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벼 종자소독은 종자전염으로 발생하는 도열병, 키다리병, 세균성벼알마름병, 벼잎선충 등을 사전에 차단하고 건전한 묘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고품질 쌀 생산의 시작이다.
물에 뜬 볍씨는 골라내고 가라앉은 볍씨를 깨끗한 물로 4~5차례 헹구고 흐르는 물에 볍씨를 담그기 하여 싹틔우기를 실시한다.
소금물가리기를 마친 볍씨는 약제침지소독법과 온탕소독법으로 종자를 소독한다.
약제침지소독법은 적용약제를 물 20ℓ에 종자 10㎏을 볍씨발아기(온탕소독기)를 사용해 30℃에서 48시간 동안 담가 소독한다.
온탕소독방법은 60℃의 물 100ℓ에 마른 상태의 벼 종자 10㎏을 10분간 담가 소독하고 냉수에 10분 이상 종자를 담그면 된다.
친환경자재를 이용한 소독은 완벽한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1차로 온탕소독을 한 후 친환경자재를 활용해 소독하면 효과가 높다.
볍씨 소독 후 종자 담그기는 적산온도 100℃ 기준으로 15℃에서 7일 동안 실시하고 신선한 물로 갈아주어 볍씨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 줘야 하며, 시간이 길어지고 온도가 높을수록 자주 물을 갈아줘야 볍씨 활력이 유지된다.
한경희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온탕소독 후 약제소독을 병행하면 더욱 방제효과가 높다"며 "권장한 온도와 소독시간 등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주=오상우 기자 osws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