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UST 교수 |
과학교육도시 대전은 생태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모든 여건을 갖추고 있다. 1973년 대덕연구단지 출범, 1993년 대전세계박람회(과학엑스포) 개최, 2002년 대덕연구개발특구 출범, 많은 고등교육기관 (군 교육기관 자운대 포함) 설립과 국립중앙과학관 유치 등으로 세계적 과학교육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체도 밀집해 있다. 대전에는 3대 하천이 있고, 사방이 아름다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전둘레산길, 대청호오백리길, 계족산 황톳길, 세종-유성누리길, 대덕사이언스길 등이 있다. 대전시는 3대 하천 살리기, 천만그루 나무심기, 자전기타기 운동을 슬로건으로 시정목표를 삼은 적이 있으나 지속적으로 이행되지 못해 아쉽게 생각한다. 대전이 바뀌면 대한민국이 바뀔 수 있고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생태교육도시 대전 건설을 위해 먼저 전국적으로 알려진 '계족산 황톳길'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계족산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한국관광 100선에 3년 연속 선정됐다. 계족산에서 조망할 수 있는 대청호와 대전시의 아름다움과 함께 14.5㎞ 임도에 조성된 황톳길 덕분이다. 계족산 황톳길은 2006년 ㈜맥키스컴퍼니(옛 선양) 조웅래 회장이 사비로 조성했다. 이제는 지방정부가 나서 계족산 황톳길을 대한민국 최고의 생태교육장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주말에 전국에서 많은 사람이 대부분 승용차로 계족산을 찾는다. 이왕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대전역, 서대전역, 신탄진역이나 대전복합터미널에 도착해 장동 계족산입구까지 노선버스,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에너지 절약뿐 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보존, 기후변화 대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휘발유 1ℓ는 이산화탄소 2.3㎏을 배출한다. 나아가 외지 방문객이 대전에서 식당을 이용하고 쇼핑까지 한다면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계족산의 황톳길 야외공연장, 황톳길 쉼터, 산성쉼터 등에 UN 3대 환경협약(생물다양성·기후변화·사막화방지),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16~2030)에 대해 알기 쉽게 소개하고 우리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해 설명하는 시설을 만들 필요가 있다. 야외 공연장에서 공연과 더불어 생태교육 등 다양한 이벤트도 기획할 수 있다. 계족산 황톳길은 멋진 생태교육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DGs는 반기문 사무총장시절에 설정한 UN의 15년 프로젝트로서 빈곤문제, 기아문제, 기후변화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17개 큰 목표, 169개 세부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야심차게 준비한 것이다.
유엔에 가장 많은 혜택을 받았고 UN 사무총장을 배출한 한국은 UN과 국제사회에 약속한 사항(온실가스 줄이는 약속 등)은 솔선수범해서 실천해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인간만이 지구의 주인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지나치게 개발해 왔기에 많은 문제를 초래했다. '생태중심 생명철학'이 지구를 살리고 지속가능한 사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교육도시 대전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명품 생태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계족산 황톳길을 포함하여 대전시 전체를 생태교육장으로 발전시키도록 함께 도전해 볼 가치가 있다.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UST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