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석환 관세청장(사진 좌측에서 세번째)이 빅데이터추진단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관세청 제공) |
앞으로 위험화물과 우범 여행자는 빅데이터와 AI로 선별, 분류된다.
전자통관시스템 유니패스의 수출입 관련 데이터를 AI 기술과 결합·가공·분석할 수 있는 'BIG AI' 모델도 개발된다.
수출입 관련 위험 정보 예측과 다른 정부기관과의 데이터 기반 협력도 확대한다.
관세청은 14일 '빅데이터추진단(이하 추진단)'을 출범하고 관세행정 전반에 걸친 빅데이터와 AI를 활용을 본격 선언했다.
이번에 출범하는 추진단은 빅데이터·AI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업무를 전담하는 기구로 일전자통관심사와 AI 엑스레이 등 제한적 업무 영역에서 효과를 검증해온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모든 업무 영역으로 확대 적용한다.
전자통관시스템 유니패스의 수출입 관련 데이터를 한곳에 모은 뒤 이를 AI 기술을 활용해 결합·가공·분석할 수 있는 'BIG AI' 모델을 개발하고 수출입 관련 위험 정보 예측과 다른 정부기관과의 데이터 기반 협력도 확대한다.
또한 수출지원 관련기관과 데이터의 공유와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에게 한 차원 높은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혁신도 본격 추진한다.
관세청 관계자는 "수출입무역에 특화된 빅데이터 분석모델을 지속 개발하여 숨겨진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한편, 민간의 데이터 경제를 지원하도록 데이터 전문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세청은 기획재정부 소속 외청으로 관세를 관리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관세 부과와 감면, 징수는 물론 원산지제도 관리, 자유무역협정 관련 부정무역행위를 단속하는 등 관세제도 전반을 관장한다.
세관 현장에서 세과수입물품·수출물품·반송물품 및 중계무역물품의 통관과, 관세범과 무역사범을 수사하고 압수물품의 보관, 수출입물품의 통관, 공항과 항만에 대한 감시도 하고 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