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대전시와 한국철도공사에 따르면 2008년부터 공동으로 추진한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민간 개발사업 우선협상자로 ㈜한화건설 컨소시엄(계룡건설산업㈜, 한화역사㈜, 금성건설㈜, 타오건설㈜, ㈜장원토건, 하나금융투자, 하나은행, ㈜한화에스테이트)을 선정했다.
현재 제안된 사업계획에 대한 60일 협상이 마무리 단계로 10월 중순께 사업자 선정 및 본 협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대전시는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사업심의 등 행정절차를 내년 하반기 전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르면 내년 하반기 착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복합2구역 개발사업은 대전시 동구 정동과 소제동 일대의 재정비촉진지구 92만여㎡ 중 대전역 인근에 있는 상업지역 부지 약 3만㎡를 민간투자를 통해 개발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가 약 9000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개발 사업이다.
그동안 대전시는 대전역세권 개발의 핵심 사업으로서 지역 균형발전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와 함께 지난 2008년, 2015년, 2018년 3차례에 걸쳐 민간사업자 공모를 추진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부동산 경기 침체, 주변 상인들과의 이해관계 및 사업성 부족 등 대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사업 시행자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대전시는 개발여건 개선을 위해 인근 도로 및 공원 등 기반시설 확충에 2382억 원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등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지역상인과의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2018년 7월)했다. 또한, 당초 보다 주거 비율을 높이고(25%→46%), 복합환승센터 부지 기부채납 면적을 축소(당초 1만4618㎡→국공유지·한국철도공사 소유 부지를 제외한 5772㎡)하는 등 사업성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공모로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한화건설 컨소시엄 사업계획은 대부분 반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복합2구역 내에 ▲소통형 커뮤니티 광장 ▲국제회의·관광수요를 고려한 프리미엄 비즈니스 호텔 ▲문화거점 조성을 위한 뮤지엄, 컨벤션센터 등 복합문화시설과 함께 ▲원도심 재생을 주도할 랜드마크 건물로서 초고층 주거타워 ▲상생협력 판매시설 등을 조성하는 것으로 제안됐다.
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르면 건설 기간 중 9000억 원 이상의 민간부문 투자를 통해 생산유발 효과 1조 8000억 원, 취업유발 효과 1만 1200명 등 지역경제 활성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대전시는 내다봤다.
대전시 관계자는 "우선사업자와 한국철도공사 간의 사업계획 협상에서 큰 이견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면서 "본 협약이 체결되면 앞으로 진행될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사업시행인가 등 관련 인허가 행정절차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사업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