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롱패딩.숏패딩 이어 착한패딩 열풍 분다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유통] 롱패딩.숏패딩 이어 착한패딩 열풍 분다

동물 복지, 환경문제 등 소비자 인식도 높아지면서 길이가 아닌 소재 눈길
업계 친환경 재활용 소재 활용한 제품개발 활발

  • 승인 2021-01-14 15:50
  • 수정 2021-05-02 21:16
  • 신문게재 2021-01-15 10면
  • 전유진 기자전유진 기자
1439604_498296_292
롯데백화점 대전점은 지난달 6층 노스페이스키즈 매장에서 환경을 생각하는 노스페이스의 에코데이를 맞아 아이들을 위한 '에코다운'과 '세이프백'을 선보였다. 롯데쇼핑 제공
몇 년 간 뜨거웠던 '롱패딩' 유행을 뒤로하고 올 겨울부터는 '숏패딩'으로 흐름이 바뀌었다. 앞으로는 단순한 길이 문제가 아닌 친환경, 동물복지 제품이 인기를 끌 것이라는 유통업계의 전망이 나온다. 모피코트나 오리·거위털 점퍼 의류를 만들기 위해 살아 있는 동물들의 털을 비윤리적인 방식으로 뜯어내는 한 농장의 충격적인 영상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한동안 화제였다. 이후 동물 복지를 생각해 윤리적 제품 인증인 RDS(Responsible Down Standard)를 받거나 에코퍼(eco-fur)를 사용한 이른바 '착한 패딩'만 고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업계는 관련 제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NJ4FL56D_NJ4FL56D_primary
노스페이스 세이브 더 얼스 플리스 자켓 (출처:노스페이스 공식 홈페이지)


117518_74465_578
아웃도어 브랜드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은 가볍고 실용적인 백팩으로 신학기 1020세대를 겨냥한다. (출처: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재활용 소재 활용한 각종 의류 앞다퉈 출시

국내 아웃도어 패션 업계는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제품군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블랙야크는 짧은 기장이나 긴 기장 상관없이 리사이클 다운을 폭넓게 선보이고 있다. 이번 시즌 대표 제품인 'U앨리엇다운자켓'은 다양한 이너와 착용하기 편한 넉넉한 오버사이즈 스타일의 푸퍼 다운이다. 충전재로 사용한 리사이클 다운은 철저한 세탁과 건조 과정을 거쳐 새 제품과 같은 수준의 퀄리티를 갖췄다.



블랙야크는 지난 5월 티케이케미칼, 환경부, 강원도,강릉시, 삼척시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국내 최초 K-rPET 재생섬유 기능성 의류를 출시했다. 블랙야크는 이어 지난달 서울 강북구에서 수거한 투명 페트병을 재활용한 의류와 용품 등을 생산하기 위해 서울시 강북구, 두산이엔티, 티케이케미칼과도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강북구는 각 가정에서 분리 배출된 페트병을 수거하고 선별 체계를 구축해 재생섬유 사용 제품을 구매하기로 약속했다. 두산이엔티는 강북구에서 수거한 페트병을 파쇄해 재생섬유 원료가 되는 고품질 플레이크 생산에 나선다. 티케이케미칼은 이 플레이크에서 원사를 뽑아 블랙야크에 공급할 계획이다.

형지엘리트도 버려진 페트병 원사를 활용한 친환경 제품 개발에 나선다. 재활용 페트병으로 만든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적용한 스포츠 상품 등을 내년 3월에 출시 목표로 하고 있다.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도 친환경 소재 '라이크 에어 Z백팩'을 출시했다. 디스커버리가 신규 개발한 컴포트 메쉬 소재를 활용했는데 친환경 공정으로 생산된 원단이다.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해 사용자가 쾌적하게 쓸 수 있다. 가방 안감은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라사이클 폴리에스터 원단을 사용했다.

1257379683
출처:게티이미지뱅크
PYH2020120101030084800_P4
영원아웃도어의 글로벌 아웃도어 브랜드 노스페이스가 지난달 노스페이스 명동점에서 친환경 겨울 코디를 선보였다. 노스페이스는 페트병 1,080만 개를 재활용한 '에코 플리스 컬렉션'을 비롯해 원조 숏패딩 '눕시 재킷'에 친환경 가치를 더한 '1996 에코 눕시 재킷' 등 다양한 친환경 제품을 선보이며 지속가능한 패션을 이끌고 있다.
▲전사적 마케팅 전략도 친환경 표방

의류 출시뿐만 아니라 전사적 마케팅 전략으로 친환경을 표방하는 업체들도 있다. 코오롱스포츠는 2016년부터 국내 멸종 위기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노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매 시즌 한 종류의 동식물을 선정해 캡슐컬렉션을 출시하고 수익금 일부를 기증하는 캠페인이다. 지난해 FW 시즌 노아 프로젝트는 '백송'을 주제로 양자주 작가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 상품은 친환경 소재 사용은 물론이고 제작도 친환경 방식을 채택했다. 코오롱스포츠는 노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2023년까지 전 상품 50%를 친환경 소재로 확장하고 친환경 매장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친환경 매장에서는 옷걸이와 선반과 같은 상품 진열 집기를 생분해성 제품 사용을 늘리기 위해 노력한다.

노스페이스도 수년 전부터 RDS 인증을 받은 제품군을 늘려왔으며 친환경 인공 충전재를 개발하고 재활용 소재를 활용하는데 힘써왔다. 지난 2019년 첫 선을 보인 '에코 플리스 컬렉션'은 페트병 약 370만 개를 재활용했다고 알려져 화제가 됐다. 노스페이스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친환경을 화두로 하는 마케팅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제품 태그마다 페트병을 얼마나 재활용했는지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표식(100%, 70%+, 50%+ 및 30%+)을 부착하고 브랜드 홍보대사를 활용해 올바른 플라스틱병 분리배출 방법을 안내하는 '에코 팁(ECO TIP)'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3.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4.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재선출'
  5.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1. 천안교육지원청, 호우 특보 관련 비상대책회의 개최
  2. "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3. 19일까지 충청권에 180㎜ 더 퍼붓는다…침수 피해 '주의'
  4. 새솔유치원, '북적북적 BOOK 페스티벌'로 독서 문화 선도
  5. [문예공론] 점심 사냥

헤드라인 뉴스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충남권 전 지역에 호우주의보가 발효중인 가운데, 밤사이 강수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우려했던 추가 침수 피해는 가까스로 피해갔다. 그러나 서해상에서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구름대가 점차 접근하는 중으로 오늘(18) 오후부터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가 예상돼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상태다. 18일 대전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우려했던 강수는 밤사이 소강상태를 보이며 지역에 간헐적으로 비를 뿌렸다. 17일 오후 9시부터 18일 오전 8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서천 춘장대 30㎜, 연무 16㎜, 태안 14.5㎜, 부여 10.9㎜, 대전 정림 9..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