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바다 콧물과 검은 재앙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바다 콧물과 검은 재앙

  • 승인 2021-06-23 09:57
  • 수정 2021-06-23 10:20
  • 신문게재 2021-06-24 18면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터키 이스탄불 해안에 번지는 '바다의 콧물'
(이스탄불 AP=연합뉴스) 터키 최대 도시인 이스탄불의 아시아 쪽 해안이 7일(현지시간) '바다의 콧물'로 불리는 해양 점액으로 뒤덮여 있다.
최근 한 보도사진이 눈길을 끌었다. 기름띠처럼 뿌연 회색물질로 뒤덮인 바닷가를 찍은 사진이었다. 이는 해양점액에 점령당한 터키 마르마라해의 모습이었다.

'바다의 콧물'이라 불리는 이 해양점액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배출한 유기물이다. 이러한 현상은 수온이 높아지거나 질소·인의 농도가 짙어지면 플랑크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들이 배출하는 유기물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서 나타난다.

해양점액이 대규모로 발생해 수면을 덮고 있으면 바다 속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물고기가 대량 폐사하는 등 해양 생태계 전반에 큰 위협 요소가 된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생긴 원인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 온도의 상승과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오·폐수의 무분별한 바다 배출로 인한 '인재(人災)'라고 꼬집었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도 십수 년전 '검은 재앙'으로 불리던 초대형 인재가 발생한 적이 있다. 바로 2007년 12월 7일 태안 앞바다에서 일어난 사상 초유의 기름유출 재난이다.



당시 예인선단 2척이 인천대교 건설공사에 투입된 삼성중공업의 해상 크레인을 쇠줄로 묶어 거제도로 예인하던 중 한 척을 지탱하던 쇠줄이 끊어지면서 해상 크레인이 바다에 정박해 있던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와 세 차례 충돌하는 사고가 벌어졌다. 이 사고로 허베이스피리트호의 유조선 탱크에 있던 1만2547㎘의 원유가 태안 해역으로 유출됐는데, 이는 1995년 '시프린스호 유조선 좌초 사건(호남해운 소속)'보다 2.5배에 달했으며, 1997년 이후 10년간 발생한 3915건의 사고로 유출된 기름을 합친 것보다 많은 규모였다.

하루아침에 기름폭탄을 맞은 태안 앞바다의 황금어장과 해수욕장, 천혜의 생태계와 어민들까지 극심한 오염 피해로 신음했다. 피해규모가 얼마나 될지, 기름찌꺼기를 전부 치우는 데 얼마나 긴 세월이 걸릴지 전문가들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심각한 국가적 재난을 극복하기 위해 전 국민이 팔을 걷어붙였다. 장화와 장갑을 착용하고 마른 천과 양동이를 든 자원봉사자들이 오염된 기름띠를 제거하기 위해 날마다 전국에서 물밀 듯 모여들었다.

사고 이듬해 초 본사 직원들도 방제봉사에 동참했다. 대형버스를 타고 도착한 현장은 말 그대로 참혹했다. 바다도 모래사장도 바위도 제 색을 잃고 기름범벅인 상태였다. 봉사에 참여한 직원들은 칼바람이 부는 바닷가 곳곳을 누비며 마른 천조각으로 갯바위 틈새를 문지르고 닦았다. 들고 있던 천이 새까매지면 포대에 담고 다시 새 천을 들고 다시 정화작업에 들어가기를 쉴 새 없이 반복했다. 날이 저물어 지친 몸과 무거운 마음으로 봉사활동을 정리하고 돌아온 기억이 난다.

사고 후 7년, 전문가들조차 회복 불가능이라 전망했던 태안은 123만명에 달하는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으로 '검은 재앙'을 기적적으로 탈출했다.

내달 3일이면 만리포를 비롯한 태안지역 28개의 해수욕장이 일제히 개장한다. 서해안에서 규모가 가장 큰 보령 대천해수욕장도 이날 함께 문을 연다. 무창포는 7월 10일, 충장대는 7월 10일 운영에 돌입한다.

온국민 코로나19 백신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과 더불어 정부가 내달부터 백신 접종자에게 야외에서 노마스크를 허용하고 인원 제한을 해제한다는 방침까지 발표한 만큼 피서객이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해수욕장들도 이들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와 함께 방역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해 피서객이 가장 많이 다녀간 곳은 부산 해운대해수욕장(666만명), 보령 대천해수욕장(299만명), 부산 광안리해수욕장(273만명) 순이었다.

정부는 지난해 해수욕장 발 감염자는 한명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번 여름에는 청정 서해안을 만끽해보는 것은 어떨까. 디지털룸 2팀장

현옥란-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집 좁아 에어컨 무상지원도 못 받아" 폭염에 노숙 택한 쪽방주민
  2. 새 정부 출연연 혁신 정책에 쏠린 눈… PBS·종사자 처우 등 개선 전망
  3. 대전노동청, 2025년 제1차 정기통합 워크숍 성료
  4. 마을어장에 '수상낚시터' 허용, 어촌에 새 활력 기대
  5. [박현경골프아카데미]스크린 골프장 주인이 회원들과 내기 골프를 쳤다는데.. 결과는?
  1. 세종미래전략산업펀드, 1호 투자 기업 큐노바 선정
  2. '국정기획위와 세종시' 첫 만남...지역 현안 얼마나 담길까
  3. 세종 대안·특수학교 수요 증가… 학교 추가설립 속도 낸다
  4. "韓 정치 승자독식 깨야"…지방분권 강화도 양극화 해법
  5. ‘시원하게 장 보세요’

헤드라인 뉴스


여·야 전대 레이스 본격화… 충청 주자들 선전할까

여·야 전대 레이스 본격화… 충청 주자들 선전할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전당대회 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충청 주자들의 선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에선 황명선 국회의원(충남 논산·계룡·금산)이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했다. 황 의원은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재명 대통령과 같은 길을 걸어온 동지로, 국민주권 정부의 성공을 제 사명으로 여기고 있다"며 "내년 지방선거는 이재명 정부에 대한 첫 민심의 평가다. 제가 승리를 책임질 야전사령관이 되겠다"고 밝혔다. 충남 논산 출생인 황 의원은 서울시의원과 3선 논산시장을 거쳐 22대 총선에서 국회의원 뱃지를 달..

이 대통령 “분열과 갈등 격화…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
이 대통령 “분열과 갈등 격화…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사회의 분열과 갈등이 격화된 점을 언급하며 포용적인 세상을 위해 종교 지도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종교 지도자들과의 오찬에서 “선거 과정에서 걱정했던 것처럼 우리 사회가 지나치게 분열적이고 대립적이고 갈등이 많이 격화돼 참 걱정”이라며 “종교 지도자 여러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종교라는 게 기본적으로 사랑과 존중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종교 지도자 여러분들의 역할이 더 많이 요구되는 시대가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든다”며 “각별한 관심..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시 집현동 공동캠퍼스에 입주하는 충남대 의과대학이 오는 9월 문을 연다. 의정 갈등 여파로 한차례 개교 연기 끝 희소식으로, 앞으로 충남대 의대 입학생들은 의예과 1~2학년 과정을 세종공동캠퍼스에서 보내게 된다. 한석수 세종 공동캠퍼스 이사장은 9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임대형 캠퍼스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충남대 의대가 의정 갈등으로 입주를 못하다 보니 편의시설 미비 등 운영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 자리를 갖춰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종공동캠퍼스 운영법인(이하 공캠법인)에 따르면 2024년 개교 이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

  •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