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마음 보여줍시다' 대전 경비원 감축 추진에 반대의견도

  • 사회/교육
  • 이슈&화제

'따뜻한 마음 보여줍시다' 대전 경비원 감축 추진에 반대의견도

10월 21일 공동주택관리법 개정 따라 경비원 업무 뚜렷해져
'세대 방문 동의서 징구 등 관리보조업무 수행 불가' 등 이유로
1200여 세대 아파트 주민 투표… "따뜻한 마음 보여주자" 주민도

  • 승인 2021-12-26 17:05
  • 신문게재 2021-12-27 5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KakaoTalk_20211223_094317195_03
아파트 경비원 감원에 반대하는 주민이 써 붙인 호소문
"매달 큰 돈일 수도 있지만 사소하게는 커피 2~4잔 가격입니다. 코로나 시대로 지치고 힘든 요즘 우리의 이웃인 경비원 아저씨분들께 따뜻한 마음을 보여 줍시다."

대전 중구의 한 아파트에서 경비원 감축을 놓고 주민 투표가 이뤄지자 반대하는 주민이 단지 곳곳에 써 붙인 글이다. 이 아파트에선 10월 21일 개정된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에 따라 경비원 업무가 제한되면서 경비원 정원 조정에 나섰다.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에 따라 그동안 음성적으로 이뤄지던 아파트 경비원의 업무 경계가 뚜렷하게 정해진 가운데 일각에서 우려했던 경비원 감축이 현실이 됐다.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논리지만 일부 주민들은 경비원 감축에 반대하며 호소하고 있다.

대전 중구의 1200여 세대 아파트에 최근 주민투표 안내장과 관리규약 개정안 찬반 동의서가 세대별로 배부됐다. 이 아파트 임시입주자대표회의 제안에 따라 현재 18명인 경비원을 12명으로 조정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주민들이 받은 안내문에는 "경비원 업무가 법제화로 경감됐다"며 "세대 방문 동의서 징구, 기계 이용 정원수 전정·예초작업 등 관리보조업무 수행 불가"라고 조정 사유를 들었다. 또 "입주민이 경비원의 도움을 받아야 할 사항이 미미하고 CCTV(309개소) 등 경비시설 확충으로 2015년 이후 도난 등 사건 발생 전무하다"며 "인근 아파트 단지와 비교해 경비원 수가 많다"고 감축 제안 배경을 제시했다.

경비원 6명을 감축했을 때 경비비 예산이 연간 2억 2000만 원가량 절감되는데 아파트 면적당 관리비를 계산하면 세대당 월별 1만 500원에서 2만 5250원을 아낄 수 있다고도 안내됐다.

아파트 경비원 감축은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개정 전부터 우려됐던 부분이다. 노동강도는 강해졌지만 노동환경과 처우 개선이 빠져 있고 되려 경비원 감축 명분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우려가 현실이 되자 이 아파트 일부 주민은 경비원 감축에 반대한다며 적극적으로 다른 주민을 설득하기도 했다. 아파트 현관 등 주요 장소에 호소문을 붙인 주민은 "전 분리수거하러 갈 때 산책할 때 그분들이 이어서 행복했다"며 "코로나로 인해 우울하고 마음이 지쳐 있지만 우리 6분의 경비원님마저 안 계시다면 얼마나 더 힘들까요?"라고 써 붙였다.

이 주민은 중도일보와의 통화에서 "경비원 도움받을 사항이 미미하다고 하는데 낙엽과 눈은 매년 쓸어야 하는 일이고 특히 코로나 시기에 재활용쓰레기가 더 많이 나오고 있어 경비원분들 할 일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아기를 데리고 다닐 때마다 경비원 분들께 인사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데 그 분들이 안 계시다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도 힘든데 이분들(경비원)도 마음이 얼마나 아플까 싶다"며 "호소문을 붙이는데 한 경비원 분이 보시고 눈물을 글썽이셨는데 마음이 아팠다.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