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9와 아홉수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 9와 아홉수

  • 승인 2022-01-26 10:43
  • 신문게재 2022-01-27 18면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매일 아침 눈을 뜨면 제일 먼저 휴대전화를 찾아 시간을 확인한다. 운전 중 건널목 앞에 멈춰서서 파란 신호등의 숫자가 줄어드는 것을 지켜보며 브레이크에서 발을 뗄 준비를 한다. 전화가 오면 '070' 스팸 전화인지, 아는 번호인지를 먼저 살핀다. 실내 환기를 위해 공기청정기를 켜면서 미세먼지 수치가 얼마나 되는지 체크해본다. 이렇듯 삶은 숫자로 가득하다.

나는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특히 '3'을 좋아한다. '1'은 외롭고, '2'는 조금 부족한 듯하고, '3'은 완성된 느낌이다. '삼총사', '삼세번', '삼 세판'에도 '3'이 쓰이고, 가위바위보도 3개의 손모양으로 놀이를 한다. 출발 시점을 카운트할 때 또는 어떤 일이나 동작을 맞출 때도 보통 '셋'에서 시작한다.

나라마다 문화권마다 좋아하는 숫자를 알아보니 각양각색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음양사상의 영향으로 나처럼 '3'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음양사상에서는 숫자 '3'이 양을 나타내는 첫 번째 수 '1'과 음을 나타내는 첫 번째 수 '2'가 합해진 조화로운 숫자라고 여겼다. 이웃나라 중국인들은 '8'을 유난히 좋아한다. 이유는 '돈을 번다', '재산을 모은다'는 뜻을 지닌 '발(發)'과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인 데, '8'이 들어가는 주소나 전화번호, 자동차 번호에 거액의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기도 한다. 2008년 열린 베이징 올림픽은 8월 8일 저녁 8시 8분에 개회식을 하기도 했다.

서양 문화권에서는 종교적인 영향으로 숫자 '7'을 선호한다. 기독교에서 하느님이 6일 동안 만물을 창조하고 7일째 되는 날 쉬었다는 이유에서다. 또 '7'은 하늘의 완전함을 나타내는 수인 '3'과 땅의 완전함을 나타내는 수인 '4'가 합해진 수로, 하늘과 땅이 합해져서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여겼다.



반면 '13'이라는 숫자는 매우 싫어한다.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한 날이 바로 '13일의 금요일'이었기 때문에 이날을 특히 불길하게 여겨왔다. 1년 중 '13일의 금요일'은 1~3번 정도 나올 수 있는 데 올해는 다행스럽게도(?) 5월에 한 번뿐이다.

아라비아숫자를 발명한 인도인들은 '9'를 좋아한다. '9'는 한자리로 적을 수 있는 가장 큰 수이며 '완성', '완벽함'을 의미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국인들도 '8' 다음으로 좋아하는 숫자가 '9'다. '九'가 길다거나 장수한다는 의미를 가진 '주(久)'와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홀수 중 가장 큰 수인 '9'는 상서롭다고 여겨 황제와 관련된 숫자이기도 하다. 음력 9월 9일은 양수가 겹쳤다는 중양절로 전통 명절이기도 하며, 이날 결혼을 많이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숫자 '9'가 들어간 나이를 '아홉수'라고 해서 결혼·이사·이직 등을 피하고, 일이 잘 안풀린다든지 건강을 조심해야 한다든지의 말들을 한다. 환갑을 앞둔 59세에는 생일잔치까지 꺼린다.

특히 '9'가 3번 반복된 1999년에는 전세계가 세기말 불안에 휩싸이기도 했다. 1999년은 새 천년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지만, 한편으로는 Y2K로 불리던 밀레니엄 버그와 노스트라다무스가 세계 멸망을 예언했다고 알려져 있어 더욱 주목을 받았던 해이다. 연도가 '00년'이 '2000년'이 아닌 '1900년'으로 오기된다던가, 아예 '2000년'이라는 연도가 인식이 안돼 전기·전력 등에 의존하는 시설들을 중심으로 연도 숫자 오류로 대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는 공포가 전 세계를 휩쓸었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평온하게 21세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무성했던 소문들은 한때의 해프닝으로 끝났다.

나는 올해 한국 나이로 49세, 흔히 말하는 '아홉수'다. '구미호'도 못 피해 간 '아홉수의 저주'(?)에 빠질까 전전긍긍하기 보다는, 다시 오지 않을 40대의 마지막 한 해를 즐겁고 행복한 일들로 채우고 완성해 우주 만물의 원리를 깨닫는 시기인 '지천명'을 웃으면서 맞이하고 싶다.

현옥란 편집부 부장

현옥란-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