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지방선거와 민심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 지방선거와 민심

  • 승인 2022-06-08 07:50
  • 수정 2022-06-12 12:12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2022020901000453100015711
조선 14대 임금인 선조는 임진왜란 통에 아들 광해군에게 분조(分朝)를 이끌게 했다. 당시 왜의 공격에 도읍인 한양에서 의주로 파천(播遷)하면서 내린 특단의 조치였다.

광해군에게 함경도 황해도 등을 돌며 의병을 모으게 했다. 전쟁 속에 더구나 자신의 피란으로 흉흉해진 민심 수습을 아들에 맡긴 셈이다.

임진왜란 발발 초기 선조의 대응을 둘러싼 역사적 평가는 엇갈린다. 그렇다고 해도 7년 전쟁을 조선 승리로 매조지 하기까지 분조의 역할은 평가하고 싶다.

동요하는 백성을 다독이는가 하면 왕실 이미지 회복과 조선군 사기 진작 등 1석 3조 효과를 본 것이다. 명의 원군파병까지 조선이 버틸 수 있는 시간을 벌기도 했다.



전쟁 속 민심을 다잡기 위한 노력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게 없다.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에서 이를 읽을 수 있다. 개전(開戰) 초기만 하더라도 세계 군사력 2위인 러시아 화력에 25위 우크라이나가 쉽게 무너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100일이 지난 현재 우크라이나는 예상 밖 선전으로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중심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있다.

일각의 망명설을 일축한 그는 전선을 동분서주하며 병사들을 독려했다. 그러면서 국민과 운명을 함께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SNS로 국제사회와 소통하면서 반전(反戰) 여론 확산과 세계 각국 지지도 이끌어 냈다.

젤렌스키 리더십은 우크라이나 민심을 움직였다. 러시아에 대한 결사항전 의지로 국민이 뭉치는 구심점이 된 것이다.

승자독식의 관점에서 볼 때 정치와 선거도 전쟁과 다를 게 없다. 정치인들도 굳이 이를 부인하지 않는다.

선거운동 기간 입는 점퍼를 '전투복' 이때 신는 신발을 '전투화'라고 스스로 표현한다. '낙동강 전선' 식으로 전략적 요충지 표현을 전사(戰史)에서 따온 말로 빗대기도 한다.

전쟁에서 민심이 중요한 만큼 정치와 선거에 민심은 뗄 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6.1지방선거 결과 국민의힘은 대전시장 세종시장 충남지사 충북지사 등 중원의 4개 광역단체장을 싹쓸이하면서 압승했다. 반면 4년 전 충청권에서 4대 0 대승을 거뒀던 더불어민주당은 이번엔 참패했다.

선거는 끝났다. 이제는 이긴 여당이나 진 야당이나 충청 민심을 정확히 읽는 게 중요해진 시간이다.

민주당은 민심이반 원인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선거 패인으로 여기저기서 지적된 내로남불, 지도부 분열, 성비위 의혹 등은 일단 차치해 두자.

민주당은 4년 전 지선과 2년 전 총선에서 충청의 지방 및 입법권력을 모두 장악했다. 그 이후 과연 지역민들이 납득할만큼 충청 현안 해결에 전력투구했는지 되짚어 보길 권하고 싶다.

국민의힘도 이번 승리에 대해 우쭐하면 안 된다. 그동안 충청 민심에 부응한 피드백을 받았다고 승인을 지레 짐작하면 오산이다.

윤석열 정부 출범 불과 22일 만에 지방선거가 치러진 탓이 컸기 때문이다. 충청 나아가 국민 민심이 새 정부에 대한 견제론보다는 국정 안정론에 치우친 결과라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와 원팀 시너지로 지역 현안을 해결하라는 충청의 준엄한 명령임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
<강제일 서울본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