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자본의 세계와 노동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 자본의 세계와 노동

  • 승인 2022-09-21 08:04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PYH2022071220010005200_P4
"이대로 살 순 없지 않습니까?" 이것은 한국 하청노동자의 현실을 웅변하는 단발마였다. 유최안 대우조선 하청노동자는 6월 22일부터 한달동안 푹푹 찌는 한여름에 철제 감옥을 만들어 스스로 자신을 가뒀다. 1㎡(0.3평) 공간에 180m 가까이 되는 몸의 관절이란 관절을 구부리고 꺾어 욱여넣고 꼼짝 못하는 상황을 상상해 보라. 그의 부리부리한 눈에서 뿜어져 나오는 절박함을 국민들은 공감했을까. 22년차 조선업 하청노동자의 월급이 207만원이라고 한다. 사실 나도 깜짝 놀랐다. 아무리 하청 노동자라고 해도 배 만드는 일이 얼마나 힘들고 위험한 일인데 고작 207만원이라니. 그것도 22년차가 말이다. 툭하면 떨어져 죽고 무시무시한 쇳덩이에 깔려 머리가 깨지는 노동의 대가가 이 정도일 거라고는 상상을 못했다.

<국부론>의 애덤 스미스는 인간의 노동으로 자본주의 양식에 의해 사회가 발전하고 물자가 풍족해지면 구성원 모두 나눠가지는 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실은 어떤가.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우리 사회는 나라가 잘돼야 국민이 잘 살게 된다며 노동자들에게 열심히 일할 것을 주문했다. 기업이 성공해야 노동자들도 잘 산다고. 그런데 전태일은 왜 분신자살을 했을까. 거기다 IMF 경제위기의 후유증은 노동자에게 너무 가혹했다. 정리해고와 비정규직이 일상화되고 빈부격차가 군사독재 시절보다 더 커졌다. 진보정권조차 서민과 중산층의 정부를 자처하면서도 재벌의 전횡을 견제하기는커녕 이들과 결탁해 노동자들의 피와 땀을 쥐어짰다. "자본주의는 모든 땀구멍과 털구멍에서 피와 오물을 흘리며 태어난다"고 한 마르크스의 말에 모골이 송연해진다.

지난 5월 대법은 정년 연장 등의 보상조치 없이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는 것은 연령에 따른 차별에 해당돼 위법하다는 첫 판단을 내놨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임금이 삭감되는데 그에 대한 정년 연장과 같은 보상조치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재판부는 "임금이 줄어든 대신 업무량이나 강도가 줄었다는 증거도 없고 평가방법이 완화됐다고 볼 수도 없다"고 했다. 재계는 기업 부담이 가중된다고 반발했지만 앞으로 임금피크제의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때맞춰 부산일보 전·현직 직원 28명도 지난달 임금피크제로 받지 못한 임금 삭감분을 돌려달라는 취지의 소송을 제기했다.

이처럼 언론계도 예외는 아니다. 대부분 정년을 연장하며 임금피크제를 운영하지만 곳곳에서 임금피크제를 폐지하거나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편집기자협회도 설문 조사 결과 대다수가 임금피크제 폐지에 손을 들었다. 임금피크제는 2016년 언론계에 전격 도입됐다. 인건비 비용을 절감하는 대신 신입사원을 뽑자는 취지다. 언론사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르지만 퇴직 2~5년 전부터 월급이 감소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언론계 임금수준이 낮아 퇴직 후의 삶에 걸림돌이 된다고 임금피크 대상자들의 우려가 크다. 그나마 사정이 나은 일부 중앙지는 이 제도를 없애거나 좀 나은 방도를 마련하고 있다. 지방 언론은 엄두도 못내는 현실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다운 삶은 가능한가. 인간의 존엄은 보편적인 가치라고 배웠다. 그러나 존엄성을 지키고 사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윤석열 대통령은 '공정과 상식'을 입이 닳도록 부르짖지만 그 영혼없는 멘트 진절머리 난다. 일명 '노란봉투법'에 대해 정부와 여당은 "불법파업에 면죄부를 주는 것이다. 기업에 큰 피해를 준다"며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를 건의하겠다고 했다. 이것이 권력자들의 논리다. 더 가슴 아팠던 건 대우조선 하청노동자들이 파업을 할 때 일부 원청 정규직 노동자들의 모욕이었다. 이들은 욕설과 린치를 서슴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도 그랬다. 기업 편에서 하청노동자들을 비난했다. 노동자가 노동자를 비난하는 것이다. 왜 한국의 노동자들은 자신을 노동자로 보지 않을까? 언제까지 자본가의 논리로 세상을 판단할 것인가. 윤석열 정부는 새 교과과정서 '노동'이란 단어를 아예 빼버렸다. 나는 기자라는 직종의 노동자다. 나도 지난 6월부터 임금피크제 대상이 됐다. 월급날마다 힘이 쫙 빠지고 마음이 늦가을 가랑잎처럼 바스라진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