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오피니언
  • 세상읽기

[데스크 칼럼]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승인 2023-03-01 18:16
  • 수정 2023-03-02 17:30
  • 신문게재 2023-03-02 18면
  • 이성희 기자이성희 기자
이성희
2023년 봄을 맞고 있는 필자와 서민들에게 딱 맞는 말이 아닌가 싶다. 봄이 와도 전혀 봄 같지 않음을 나타내는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무슨 이야기를 꺼내려고 이리 서두가 길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초부터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 뉴스에서 아무리 떠들어도 '설마 그렇게나 많이 나오겠어?' 생각하고 신경도 쓰지 않았다. 그러나 그 생각이 큰 오산이었음은 관리비 청구서를 받은 후 깨닫게 되었다.

겨울철 관리비 청구서의 앞자리 숫자는 늘 3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1월에 받은 고지서는 숫자 5로 시작했다. 50만원이 넘은 것이다. 눈을 휘둥그레 뜨고 내역을 꼼꼼히 살펴봤다. 다른 것은 전 달 대비 변화치가 미비한데 정확히 난방비만 100% 인상된 금액이 적혀 있었다. 오래된 아파트에 중앙난방이라 어쩔 수 없다지만 30만 원대 관리비를 내다 50만 원대를 내려고 하니 급 현타가 왔다.

2월에 청구될 관리비도 두려웠다. 개별적으로 난방 조절을 할 수가 없으니 날씨가 춥지 않기만을 바라며 한 달을 지냈던 것 같다. 예정된 날짜에 관리비 청구서는 날아 왔고 두근거리는 맘을 진정시키며 금액을 확인했다. 다행히 전 달 대비 난방비는 오르지 않았고 대신 전기료가 약 7000원 정도 증가한 걸로 고지됐다. 사람이 간사하다는 게 똑같이 50만원대의 관리비를 내는데 생각보다 더 많이 안 나왔다고 이를 좋아하고 있으니 말이다. 빨리 따듯한 봄이 오길 기대했다.



그러나 앞으로 문제는 다가올 냉방비 폭탄에 있다. 지난해 오른 전기료가 냉방비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올 여름 또 한 번의 폭탄이 닥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기요금은 지난 1월 기준 전년 대비 이미 30%나 올랐는데 추가 인상이 유력한 상황이다. 산업부 장관도 한국전력의 지난해 연간 영업 손실액이 30조를 넘고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도 8조 6000억 원을 기록하는 등 전기와 가스요금의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서민들에게 안 좋은 뉴스는 또 있다. 냉난방비 폭탄에 이어 서민들의 술이자 애환을 달래주는 소주 가격 인상소식이 나온 것이다. '1병 6000원 시대'까지 예고되며 국민들의 불만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고 정부는 부랴부랴 주류업계 실태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소주는 주정(에탄올)에 물과 감미료를 섞어 제조한다. 10개 주정 회사가 공급하는 주정을 국내에서 독점 유통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지난해 10년 만에 주정값을 7.8% 올렸다. 또 제병 업체의 소주병 공급가격은 병당 180원에서 220원으로 20% 넘게 상승하며 주류업계가 소줏값을 인상할 움직임을 보이자 정부가 행동에 나선 것이다.

퇴근 후 삼겹살에 가볍게 소주와 맥주를 곁들이거나 치킨에 맥주를 마시는 게 부담스러운 상황까지 놓이게 된 것이다.

대학 시절 학교 앞 한 주점이 소주를 1000원에, 안주는 3000원에 판매했다. 지금의 소주 한 병 값인 5000원만 있으면 소주 2병에 김치찌개를 시켜서 먹을 수 있었던 곳이었다. 용돈이 궁하던 시절 그 주점은 금방 학생들에게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물가가 지금처럼 비싸지 않았고 학교 앞이라서 그런 게 아니냐는 반문도 할 수 있겠지만 당시 학교 앞에서도 그 가격으로 판매를 하는 곳은 없었다.

더욱 안 좋은 뉴스는 전년도부터 이어진 소비자물가의 상승세가 좀처럼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으며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되는가 하면 2023년 한국경제도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7%에서 1.6%로 낮췄다. 우리나라 성장률이 2%대 아래로 내려가게 된 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등 대형위기가 있던 해이다. 예상치대로 성장률을 나타낸다면 앞서 나열했던 해를 제외하고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서 잡은 이유는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 온 수출이 둔화되고 있는 데다 고금리, 고물가가 이어지며 소비 회복세도 약해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암울한 소식만 들릴 뿐이다.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현실..서민들에게 따듯한 봄은 과연 언제쯤 올까? 이성희 뉴스디지털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