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헌의 세상읽기]김태흠 지사의 '봉산개도 우수가교'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최재헌의 세상읽기]김태흠 지사의 '봉산개도 우수가교'

  • 승인 2023-05-08 16:40
  • 신문게재 2023-05-04 18면
  • 최재헌 기자최재헌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는 연초 신년사에서 봉산개도 우수가교(逢山開道 遇水架橋)의 신념으로 도정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산을 만나면 길을 만들어 나가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아 건넌다'는 뜻이라는 데, 자율과 책임의 혁신 도정으로 역동적인 힘쎈충남을 만들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김 지사가 민선8기 도정을 이끌어 온 지 1년이 전광석화처럼 지나간 듯하다. 그의 힘쎈도정은 여러 성과로 나타나기도 했고, 아쉬움 속에 진행형인 과제들도 있다.

최재헌2017-3
가장 먼저 국가산단 지정과 투자유치 성과가 눈에 띈다. 지난 3월 천안시와 홍성군이 국가산업단지 신규 후보지로 최종 선정됐다. 천안은 미래모빌리티 반도체 등 국가전략산업 중심으로 도약할 것으로 보이며, 홍성은 AI·수소 등의 중점 육성을 통해 도청 소재지로서 내포 혁신도시 완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이 기대된다.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은 서북구 성환읍 신방리 일원 416만 9000㎡의 부지에 종축장이 이전하는 2027년부터 1조 6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홍성은 홍북읍 대동리 235만 6000㎡의 땅에 2032년까지 4963억 원을 들여 산단이 조성된다.

충남도는 연이어 첫 기업 투자협약서로 3조원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 냈다. 작년 투자유치액 70% 달하는 금액의 투자유치다. 16개 기업 6개 시군 산업단지 등 56만 2427㎡ 부지에 3조 232억 원이 투자된다. 아산에 삼성디스플레이 투자유치도 4조 1000억 원으로 민선 8기 최대 규모다. 해외 투자도 눈길을 끈다. 미국 순방 중에선 뉴욕주에 프렉스에어서피스테크놀로지스(Praxair Surface Technolo-gies, Inc.) 기업과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해 1000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했고 코네티컷주에 있는 린데와도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투자유치 금액은 1억 달러다.

또한, 국립경찰병원 아산 분원 건립이 추진된다. 아산시 초사동 경찰인재개발원 유휴지 8만 1118㎡에 상급 종합병원급 550병상 규모로 2개 센터와 23개 진료과, 1000여 명의 의료진 상주할 예정인데, 의료 인프라 확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기초반인 지난해 10월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선포했고, 베이밸리 메가시티라는 행정 경계의 한계를 극복하는 신개념 광역산업협력모델을 도입해 경기도와 협약을 맺는 등 미래먹거리 창출의 큰 물꼬를 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대산~당진 고속도로 타당성재조사 통과, 호남선 고속화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제2서해대교 건설을 위한 당진~광명 민자고속도로 적격성 조사 착수, 제2금강교 문화재 현상변경 재심의 통과 등 미래발전을 위한 SOC 기반 확충에도 진전이 있었다. 국제행사인 보령 해양머드박람회와 계룡 세계군문화엑스포를 성공적으로 치른 점도 평가받을 만 하다.

3선의 중진 국회의원의 관록을 도정에 적극 활용하며 성과로 만들고 있기도 하다. 미국과 일본을 연이어 방문하며 한미일 지방정부와의 교류를 통해 외교력을 발휘한 점이나, 충청권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공동유치도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최근 홍성 등 충남도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피해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조기에 이끌어 내며 신속하게 대처해 나간 것은 높게 평가받고 있다.

김 지사는 최근 국무총리·국방부·농림부 장관 등을 면담하며 중앙부처와의 스킨십을 본격화 하고 있다. 현안 해소를 위한 정치력 발휘가 본격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위해 지사는 결재권 50%를 위임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핵심 현안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부지사와 실국장에 자율과 책임을 부여하는 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도정운영을 주문하며, 자신은 핵심현안 등 큰 일을 도모해 나가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반면, 국방과학연구소(ADD) 분원을 논산에 유치해 실리를 챙겼다고 하는데, 핵심 공약인 '육사 이전'과 관련해서는 중장기적 검토과제로 남겨놓아 아쉬움으로 남는다. 지난 2020년 혁신도시 지정이후 늦어지는 공공기관 이전 문제나, 시군 불균형발전 해소책, 내포신도시 자족기능 및 정주여건 확충도 여전한 과제다. 서산공항과 가로림만국가정원도 성과로 잡힐 듯 말 듯해 지사의 힘쎈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지사는 사석에서 지난 1년의 성과에 대해 "아직 배고프다"며 보여줄 것이 많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아무리 어렵고 힘든 과제여도 길을 만들고, 다리를 놓아서라도 해결에 나서겠다는 그의 의지가 현실화되길 간절히 기대한다. <내포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