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화가 오정숙의 변신을 보며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화가 오정숙의 변신을 보며

김용복/평론가

  • 승인 2024-05-26 17:3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024년 5월 23일~29일 KBS대전총국 제2갤러리.

추상화의 마술사 오정숙 작가의 개인전시회가 열린다해서 버스에 올랐다. 그의 추상화는 언제나 보아도 재미있고, 야릇한 느낌이들어 감상하기에 시간 가는줄 몰랐다.



왜냐하면 작가 오정숙이 그려내는 추상화는 단순히 점, 선, 면, 색채 등의 표현을 목표로 하는 뜨거운 추상화나 차가운 추상화가 아니다. 그렇다고 오늘날 디자인 분야에서 유용하게 써먹고 있는 일반적인 추상화도 아니며, 조선 시대 추상화 역할을 하고 있던 민화(그림)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적인 매력의 오정숙의 그림 세계는 무엇을 나타내려 그렇게 아리송한 추상화를 그리고 있는가?



우리나라 추상화는 1930년대 중반 일본에서 유학하던 김환기(金煥基), 유영국(劉永國), 이규상(李揆祥) 등 극소수의 청년 미술학도들에 의해 시작된 이래,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전후 1세대 청년 작가들이 주도한 앵포르멜 미술에 이르러 현대미술의 주류가 되었다고 전해져 온다.

1오정숙
오정숙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KBS제2전시실
그러나 화가 오정숙은 젊은 세대가 아니다.

그의 그림 면면을 살펴보면 빨강, 파랑과 노란색을 사용하되 균일하고 정교한 붓질로 이루어진 그림을 그렸던 것이다.

보자, 그가 그린 부드러운 그림들을.

2-오정숙
오정숙 작, '여인의명상', Oil on canvas, 65.1x53.0
'여인의 명상'이라는 주제 아래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여인을 그렸다. 그리고 온몸이 나체인 것이다. 명상을 하려면 나체를 그려 남들의 눈길을 끌어서는 안되고, 하늘을 바라보아서도 명상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아름다운 여인에게 실오라기 하나도 걸치지 않은 모습에 눈을 떠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을 그렸던 것이다. 그래서 야릇한 기분으로 감상을 했다고 했다.

2창욱
오정숙 작, '청옥빛 자기', Acrylic on canvas, 65.1x53.0, 에스토니아탈린 대사관 초대 전시 기증 작품
화가 오정숙은 꽃 작가였다.

꽃 작가이되 자신을 꽃의 분신으로 보고 꽃과 함께 살아가는 기이한 작가였다. 그림을 그리되 사진을 변형시켜 꽃으로 옷을 입히고, 자신은 압화로 외출복을 만들어 입고, 세상을 바로 보는 것이 미안해 아예 눈 한쪽을 없애버렸던 화가였다.

그런데 변신을 했다.세월이 흘러 작가 오정숙의 외모가 변신한 것이 아니라, 그의 내재된 속마음이 변신을 했던 것이다.

보라, 위에 선보인 그림들에서 꽃을 보기가 흔하지 않다. 새의 깃털이 여기저기 흩어지고, 머리 위에 그려진 꽃의 그림에서는 생각이 흩어지는 모습을 그리지 않았던가! 그리고 지그시 감은 눈을 보라.

지적인 아름다움이 그대로 들어나지 않았던가! 이렇게 내면이 아름다운 여인과 술 한잔 나누고 싶다.그래서 감은 눈속에 숨겨진 고뇌에 찬 그 마음을 알고 싶은 것이다. 오 작가여. 술 한잔 합시다. 술을 마시되 소주로 마시고, 그것도 우리고장의 대표 술 '선양'을 마셔가며 향수에 젖어봅시다.

이왕 흥분된 김에 한번만 더 흥분하자.

그의 변신한 모습으로 그려진 ' 청옥빛 자기'를 에스토니아탈린 대사관 초대 전시 기증작품으로 보내기로 했단다.

고려청자는 은은한 푸른 빛깔, 비색(翡色)과 상감(象嵌) 기법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작가 오정숙은 짙은 색의 청옥빛 청자를 그리고 훨훨 날아드는 나비까지 그렸다.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묘한 그림이다. 고려 초는 순청자가 유행했고, 인종 임금 이후 기법이 발달하면서 상감청자도 나타났지만 짙은 색갈의 청자는 볼수가 없었다. 그리고 청자는 색깔은 있되 향기와 꿀은 없다. 그런데 나비와 벌이 날아들다니? 그것도 짙은 색깔의 청나비와 벌 한마리까지.

흥분을 가라앉히자. 필자가 글을 쓰며 이렇게 흥분된 적은 없었다. 독자들이 볼 때 늙은이가 주책을 떤다고 비아냥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오정숙 화가여!

앞으로도 계속 변신하는 모습을 보이기 바란다. 그래야 새로운 모습의 작가 오정숙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김용복/평론가

김용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4.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5.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헤드라인 뉴스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 지연으로 실질적인 관세인하가 불투명해지면서 지역 수출기업들이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11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인 10월 29일 경주에서 정상회담를 갖고 관세·안보 협상을 포함한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양국 간 세부 합의 내용은 거의 마무리됐으며, 팩트시트는 2~3일 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열흘이 지난 현재까지 팩트시트는 발표되지 않았고 25%의..

검찰, 1년간 피해자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검찰, 1년간 피해자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대전지방검철청 홍성지청이 1년간 110명으로부터 94억 원을 편취한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5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범죄수익 4억 2000여만 원을 추가로 밝히는 동시에 보이스피싱 총책의 신원을 확인, 해외 공조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성지청은 12일 오전 청내 대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캄보디아·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형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을 구속 기소, 범죄수익 박탈을 위해 피고인들 전원의 금융계좌·가상자산 계정 등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특경(사기), 범죄수익은닉규제법위반..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