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화가 오정숙의 변신을 보며

  • 오피니언
  • 여론광장

[문화 톡] 화가 오정숙의 변신을 보며

김용복/평론가

  • 승인 2024-05-26 17:3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024년 5월 23일~29일 KBS대전총국 제2갤러리.

추상화의 마술사 오정숙 작가의 개인전시회가 열린다해서 버스에 올랐다. 그의 추상화는 언제나 보아도 재미있고, 야릇한 느낌이들어 감상하기에 시간 가는줄 몰랐다.

왜냐하면 작가 오정숙이 그려내는 추상화는 단순히 점, 선, 면, 색채 등의 표현을 목표로 하는 뜨거운 추상화나 차가운 추상화가 아니다. 그렇다고 오늘날 디자인 분야에서 유용하게 써먹고 있는 일반적인 추상화도 아니며, 조선 시대 추상화 역할을 하고 있던 민화(그림)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적인 매력의 오정숙의 그림 세계는 무엇을 나타내려 그렇게 아리송한 추상화를 그리고 있는가?



우리나라 추상화는 1930년대 중반 일본에서 유학하던 김환기(金煥基), 유영국(劉永國), 이규상(李揆祥) 등 극소수의 청년 미술학도들에 의해 시작된 이래,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전후 1세대 청년 작가들이 주도한 앵포르멜 미술에 이르러 현대미술의 주류가 되었다고 전해져 온다.

1오정숙
오정숙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KBS제2전시실
그러나 화가 오정숙은 젊은 세대가 아니다.

그의 그림 면면을 살펴보면 빨강, 파랑과 노란색을 사용하되 균일하고 정교한 붓질로 이루어진 그림을 그렸던 것이다.

보자, 그가 그린 부드러운 그림들을.

2-오정숙
오정숙 작, '여인의명상', Oil on canvas, 65.1x53.0
'여인의 명상'이라는 주제 아래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여인을 그렸다. 그리고 온몸이 나체인 것이다. 명상을 하려면 나체를 그려 남들의 눈길을 끌어서는 안되고, 하늘을 바라보아서도 명상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아름다운 여인에게 실오라기 하나도 걸치지 않은 모습에 눈을 떠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을 그렸던 것이다. 그래서 야릇한 기분으로 감상을 했다고 했다.

2창욱
오정숙 작, '청옥빛 자기', Acrylic on canvas, 65.1x53.0, 에스토니아탈린 대사관 초대 전시 기증 작품
화가 오정숙은 꽃 작가였다.

꽃 작가이되 자신을 꽃의 분신으로 보고 꽃과 함께 살아가는 기이한 작가였다. 그림을 그리되 사진을 변형시켜 꽃으로 옷을 입히고, 자신은 압화로 외출복을 만들어 입고, 세상을 바로 보는 것이 미안해 아예 눈 한쪽을 없애버렸던 화가였다.

그런데 변신을 했다.세월이 흘러 작가 오정숙의 외모가 변신한 것이 아니라, 그의 내재된 속마음이 변신을 했던 것이다.

보라, 위에 선보인 그림들에서 꽃을 보기가 흔하지 않다. 새의 깃털이 여기저기 흩어지고, 머리 위에 그려진 꽃의 그림에서는 생각이 흩어지는 모습을 그리지 않았던가! 그리고 지그시 감은 눈을 보라.

지적인 아름다움이 그대로 들어나지 않았던가! 이렇게 내면이 아름다운 여인과 술 한잔 나누고 싶다.그래서 감은 눈속에 숨겨진 고뇌에 찬 그 마음을 알고 싶은 것이다. 오 작가여. 술 한잔 합시다. 술을 마시되 소주로 마시고, 그것도 우리고장의 대표 술 '선양'을 마셔가며 향수에 젖어봅시다.

이왕 흥분된 김에 한번만 더 흥분하자.

그의 변신한 모습으로 그려진 ' 청옥빛 자기'를 에스토니아탈린 대사관 초대 전시 기증작품으로 보내기로 했단다.

고려청자는 은은한 푸른 빛깔, 비색(翡色)과 상감(象嵌) 기법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작가 오정숙은 짙은 색의 청옥빛 청자를 그리고 훨훨 날아드는 나비까지 그렸다.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묘한 그림이다. 고려 초는 순청자가 유행했고, 인종 임금 이후 기법이 발달하면서 상감청자도 나타났지만 짙은 색갈의 청자는 볼수가 없었다. 그리고 청자는 색깔은 있되 향기와 꿀은 없다. 그런데 나비와 벌이 날아들다니? 그것도 짙은 색깔의 청나비와 벌 한마리까지.

흥분을 가라앉히자. 필자가 글을 쓰며 이렇게 흥분된 적은 없었다. 독자들이 볼 때 늙은이가 주책을 떤다고 비아냥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오정숙 화가여!

앞으로도 계속 변신하는 모습을 보이기 바란다. 그래야 새로운 모습의 작가 오정숙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김용복/평론가

김용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공 습관' 일상화 마법...자기계발 명상 캠프 눈길
  2. 천안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랑의 교실' 운영
  3. 박철웅 최소침습척추학회장, 홍콩 척추수술 세미나 초청
  4. 대전지방보훈청, 고령 보훈가족 60가구에 밑반찬 나눔 봉사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기획 특집] 세계평화를 위한 한국가톨릭성지순례단 동행취재기(2)
  1. 영업자료 갖고 동반퇴사 후 동종업체 신설 60대 3명 징역의 집유
  2. 보건소·의료원 진료시간 연장… 지자체 18일 휴진 현장채증도
  3. '265㎞ 함께 걷고 방황도 함께 극복' 대전가정법원 보호소년들 수행
  4. 대전 촉법소년 매년 700명 검거… 중구서 촉법소년 포함 여중생 3명 차 절도 시도
  5. 대전교육과학연구원, '2024 청소년과학페어' 대전 대표로 나설 6팀 선정

헤드라인 뉴스


기업투자 20조 목전 충남… 네덜란드서 연이은 3천억 투자협약

기업투자 20조 목전 충남… 네덜란드서 연이은 3천억 투자협약

충남도가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 20조 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17일 도에 따르면, 김태흠 지사의 유럽 순방 일정 중 이번 달 13∼14일(한국 시각) 네덜란드 뉴콜드·SHS사와 2억 2500만 달러(3042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연이어 체결했다. 이에 따라 민선8기 출범 이후 도의 국내외 투자유치 기업 및 금액은 163개사 19조 3688억 원이다. 민선7기 유치 금액인 14조 5385억 원보다 많다. 연도별로는 민선8기 출범 첫 해인 2022년 6개월 동안 49개사 3조 1459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80개사 1..

K-국방과학도시 대전, 방위산업 미래를 열다
K-국방과학도시 대전, 방위산업 미래를 열다

대전시가 지역 방산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군 교류와 협력에 집중하고 있다. 대전시는 17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2024년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개막식을 개최했다. 19일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230여 개 방산기업이 참가해 첨단무기와 신기술을 선보이고 국방 과학기술 학술행사, 레드백(수출용 보병전투장갑차) 전투장비 전시 포토존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한다. 전시행사는 첨단국방산업전, 군수산업발전대전, 부품국산화개발전시회에 참여하는 230여 개 방산기업들의 400여 개 부스가 설치될 예정이다. 군 관련 과학기..

대전 민간 아파트 3.3㎡(1평)당 평균 분양가 1870만 원대
대전 민간 아파트 3.3㎡(1평)당 평균 분양가 1870만 원대

대전 민간 아파트 3.3㎡(평)당 평균 분양가가 1870만 원대를 넘어섰다. 1년 전과 비교해 14% 가까운 상승 폭이다. 1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지난 5월 말 기준 대전 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는 568만7000원으로 전월과 동일했다. 3.3㎡당 분양가는 1876만7100원인 셈이다.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34평) 기준으론 6억3000여만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당 489만5000원이었던 분양가는 5월 현재 13.9% 올라 34평 기준 8000여만 원 뛰었다.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1년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휴진 안내문 붙은 의원 휴진 안내문 붙은 의원

  • ‘여긴 주차장이 아닙니다’ ‘여긴 주차장이 아닙니다’

  • 박희조 대전 동구청장, ‘동구민과 함께 르네상스 시대 견인’ 박희조 대전 동구청장, ‘동구민과 함께 르네상스 시대 견인’

  • 여름밤의 특별한 추억…‘2024 꿀잼대전 힐링캠프’ 성료 여름밤의 특별한 추억…‘2024 꿀잼대전 힐링캠프’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