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장산 정상에 커피·라면 판매점… 관광 vs 상업화 평가 엇갈려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식장산 정상에 커피·라면 판매점… 관광 vs 상업화 평가 엇갈려

식장산 옛 KT중계소 부지에 무인판매점 개설
사유지이나 공군 등 점유 민간인 통제되던 곳
중요 정상에 상업적 활용 기대와 평가 엇갈려

  • 승인 2025-01-30 14:46
  • 신문게재 2025-01-31 2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KakaoTalk_20250123_164755952
대전 동구 식장산 정상 옛 KT중계소가 있던 자리에 기계실과 통신탑이 커피와 라면을 파는 무인판매점으로 이용되고 있다. 관광을 즐기는 장소이면서 산 정상에 상업시설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 식장산 정상 통신중계소가 이전한 자리에 출입제한이 해제되고 무인 판매점이 개장하면서 시민들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대전 시내를 조망하는 관광 장소가 될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나, 누구나 누려야 할 산 정상이 사유지의 상업시설로 점유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30일 본보 취재에 따르면 식장산 정상에 있던 KT중계소가 폐지되면서 남은 부지의 통신설비기계실을 개조해 커피와 라면, 음료를 판매하는 쉼터가 마련됐다. 군과 통신시설에 점유돼 줄곧 민간인 출입을 통제하던 곳이 철조망을 걷어내고 개방되면서 세종과 멀리 인천에서도 찾아오고 있다. 산 아래 등산로 입구에서 자동차를 운전해 최정상까지 이를 수 있어 대전 야간 풍경과 일출을 관람하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공군 때부터 사용한 2층 규모의 통신설비기계실과 철골구조물이면서 높이 치솟은 통신탑, 경비초소가 그대로 남아 있다.

더욱이 이곳은 6·25전쟁 이후 군사 통신시설이 점유해 줄곧 민간인 출입을 제한해 대전시민들에게도 낯선 장소다. 1967년부터 우리 공군이 위성 GPS가 사용되기 전 항공기 위치를 파악해 서로 교신하는 통신기지로 사용했고, 공군이 철수하고 KT 통신중계소로 대체되어 계속 점유되다가 2021년 통신시설 사용이 폐지되면서 지난해까지 활용 없는 시설로 남아 있었다. 6·25전쟁 때 미군 리치몬드(Richmond) 통신부대가 식장산 해돋이 전망대 위치에 주둔했는데, 이때부터 식장산 정상은 군사적 목적으로 민간인 출입 제한이 시작됐을 정도로 오래됐다.

KakaoTalk_20250123_164811635
식장산 정상 옛 KT중계소가 이전한 자리에 시설이 커피와 라면 무인판매점으로 이용되고 있다. 멀리 대전시내 풍경이 보인다.
개인 사유지이면서 군사시설과 통신시설로 오랫동안 점유되어 통제되던 곳이 지금은 커피와 라면을 파는 장소로 바뀌면서 식장산 정상의 상업적 사용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누구나 자유롭게 찾을 수 있어야 하는 중요한 산의 정상이 판매시설로 사용된 사례가 대전에서는 처음이기 때문이다. 또 사유지 소유주가 지금은 비교적 가벼운 판매시설로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있으나, 매매 형태로 소유주가 바뀔 수 있고 종교 목적의 장소로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해당 부지가 법원 경매 물건으로 올라왔을 때 일부 부동산중개인은 종교시설 최적지로 홍보했다.



식장산 쉼터 관리인 A(37)씨는 "오랫동안 통신시설에 점유되어 통제되던 사유지를 지난해 가을부터 개방해 대전 도심과 대청호를 언제든 조망하는 장소로 개방하고 있다"라며 "지난해 한 달에 5000여 대의 차량이 입장했을 정도로 찾아오고 있으며, 개인 매각이나 종교시설 등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