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2025 e스포츠 네트워킹 데이...동양대 학생들, 경기장으로 간 수업

  • 스포츠
  • e스포츠

[르포] 2025 e스포츠 네트워킹 데이...동양대 학생들, 경기장으로 간 수업

대전 이스포츠경기장에서 실습과 특강 병행한 현장형 진로 체험
게임사 실무자 특강...“기록하고 도전하라” 조언
방송부터 캐스터까지...학생들, 이스포츠 실무 전 과정 직접 체험

  • 승인 2025-05-18 10:06
  • 김주혜 기자김주혜 기자
0I3A2761
대전e스포츠경기장에서 'e스포츠학과 네트워킹 데이'가 진행 중이다./사진=김주혜 기자
게임용 헤드셋을 고쳐 쓰고, 학생들이 대전 이스포츠경기장 안으로 들어섰다. 화면 전환 버튼 옆에 쭈뼛 앉은 학생, 캐스터석 마이크 앞에서 숨을 고르는 친구도 있었다. 어딘가 낯설고, 동시에 설레는 공기. 2025년 5월 16일 교실이 아닌 경기장에서 수업이 시작됐다.

'e스포츠학과 네트워킹 데이'라는 이름의 현장 수업이었다. 학생 30여 명이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준비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실습과 강연이 함께하는 하루였다.

가장 먼저 진행된 순서는 특강이었다. 강연자는 종목사 님블뉴런에서 마케팅과 이스포츠 운영을 맡고 있는 전원주 매니저였다. 그는 대회 현장에서 직접 일한 경험을 풀어놓았다. 특히 MSI 같은 국제 대회 개최 지역에서 일하며 배운 현장감, 촉박한 일정 속 팀워크의 밀도, 사전 준비보다 중요한 실시간 대처 역량을 강조했다.

전 매니저는 종목사에서의 구체적인 업무도 소개했다. 대회 기획, 콘텐츠 기획, 유관 팀과의 의사소통, 관련 문서 작업이 모두 포함된다고 말했다. 실무에 필요한 역량으로는 분석 능력, 협업 태도, 기획 문서 구성력 등을 들었다. 그는 '게임을 좋아하는 마음'을 강조하며 그 감정이야말로 실무에서 가장 오래가는 힘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은 조용히 그의 말을 들었다. 긴장하거나, 고개를 끄덕이거나, 노트에 적었다. "기록하라"는 마지막 조언은 강연 내내 가장 또렷하게 남은 문장이었다. 자신이 해온 활동을 돌아보며 써보는 일. 그는 그것이 다음 기회의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0I3A2800
님블뉴런 전원주 매니저가 특강을 진행 중이다./사진=김주혜 기자
강연이 끝난 뒤에는 현장 체험이 이어졌다. 학생들은 체험 조별로 나뉘었다. 캐스터, 방송 송출, 중계, 게이머 실습으로 구성됐다. 조정실에는 송출 모니터가 켜졌고, 마이크 앞에는 원고를 손에 쥔 학생이 앉았다. 게임은 리그 오브 레전드(LoL)였다. 화면 속 챔피언이 움직일 때마다 누군가는 카메라를 움직였고 누군가는 자막을 띄웠다.

방송 컨트롤 실습은 경기장 시설 관계자가 진행했다. 실습은 대회 운영 흐름을 간단히 따라가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정확한 큐 사인과 실시간 전환은 어렵지만, 학생들은 실제와 가까운 환경을 경험했다.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장엄섭 대리는 "동양대학교와 함께하는 제2회 네트워킹 데이 개최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후에는 더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및 협업을 진행하여 이스포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반응은 짧지만 분명했다. "게임만 잘하면 되는 줄 알았어요", "중계 멘트를 직접 해보니 흐름을 읽는 눈이 필요하더라고요." 무대 뒤의 노동과 협업을 가까이서 접한 하루는 새로운 진로를 상상하게 했다.

마이크가 내려지고 조명이 꺼진 뒤에도 학생들 사이에서는 작은 감상이 오갔다. 짧은 실습이었지만 교과서 밖의 세계를 처음으로 발 딛는 자리였다. 대전 이스포츠경기장은 그날 하루, 현장이 곧 교실이 되는 공간이 됐다.
김주혜 기자 nankjh7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