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47. 산수경석(山水景石)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47. 산수경석(山水景石)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2-2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이장과 군수
[이장과 군수]는 2007년에 개봉한 방화다. 평화롭고 한적한 충청도 산골마을 강덕군 산촌 2리가 무대다.

마을 단합대회를 열던 날, 마을 이장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산촌 2리는 새로운 이장을 뽑게 된다. 이번엔 젊은 놈으로 이장을 시키라는 마을 최고 어른의 말씀이 떨어진다.

이에 의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단독후보로 나서게 된 산촌 2리 대표 노총각이 조춘삼(차승원 분)이다. 그는 얼떨결에 초고속, 최연소 이장으로 전격 선출된다.

평소 동네 노인네들과 함께 고스톱치기를 일삼고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부양하던 평범한 시골 노총각 춘삼은 그러나 갑작스러운 이장 감투가 부담스럽기만 하다.



그러던 어느 날 춘삼은 어린 시절, 자기 밑에서 꼬봉 노릇이나 하던 노대규(유해진 분)가 군수에 출마한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고, 묘한 경쟁심과 시기심에 사로잡힌다. 결국 대규는 최연소 군수가 되고 이들은 과거의 만년 반장과 부반장에서 이장과 군수라는 뒤바뀐 위치로 재회한다.

산촌2리를 휘어잡던 얼짱과 몸짱에 반장 출신의 현직 이장 춘삼과 어린 시절 춘삼에게 늘 치이고 맞기까지 한 아픈 트라우마의 기억 때문에 더 생색을 내는 군수 대규의 맞대결이 관객들의 배꼽을 잡는다.

지난 2주 동안 충남 아산시 경찰인재개발원과 충북 진천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생활했던 우한 교민 366명이 퇴소했다. 이들이 탑승한 전세버스를 향해 주민들은 손을 흔들고 응원을 보냈다.

참 아름답고 훈훈한 모습이었다. 이와는 별도로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에 머물고 있는 173명의 우한교민들이 좋은 기억을 담고 떠날 수 있도록 막바지 퇴소 준비에 여념이 없는 송기섭 진천군수가 바쁜 시간을 쪼개 현장 초소에서 점심식사를 하며 퇴소식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는 요지의 보도자료와 사진이 진천군청에서 나의 이메일로 들어왔다.

하지만 말이 점심식사였지 사실은 '초라한' 컵라면을 드시는 모습이어서 마음이 짠했다. 나는 야근할 적마다 컵라면이 주식(主食)이다. 그러나 군수님은 엄연히 다르지 않은가! 나는 [이장과 군수]에 나오는 이장보다도 직급이 한참이나 낮은 때문이다.

아무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는 전시(戰時)에 버금가는 국가적 퇴치의 화두였다. 더욱이 우한 교민들이 입소한 충남 아산시 경찰인재개발원과 충북 진천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이 속한 아산시의 수장인 아산시장님과 진천군수님은 그야말로 야전군 사령관 역할을 해야만 했다.

그동안 노심초사(勞心焦思)하느라 얼마나 애간장이 타셨을까 싶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잠깐, 방화 [기생충]이라는 샛길로 빠진다. 이 영화에 산수경석(山水景石)이 등장한다.

이는 산, 골짜기, 폭포 따위의 자연 경치가 축소된 듯한 모습을 갖춘 수석(壽石)을 말한다. '산수경석'은 기우(최우식)에게 본인의 정체성을 깨닫고 자신의 길을 가게 해주는 소재로 나온다.

재물운(財物運)을 가져다 준다고 믿었던 '산수경석'이었다. 그래서 기우는 이를 빗대 "상징적인 거네"라고 말한다. 반면 딸 기정과 엄마 충숙은 "차라리 먹을 것을 사 오지"라며 불만을 드러낸다.

기우는 처음에는 재물운을 안겨 주었지만 점점 불행해진다는 것을 깨닫는다. 뿐만 아니라 산수경석에 의해 기우는 머리가 깨지는 따위의 비극과 조우한다. 산수경석은 본디 의미는 좋았다.

그렇지만 식칼을 요리사가 쓰면 요리를 만들어 손님의 배고픔을 해결해 주지만 강도가 쓰면 흉기로 돌변하듯 결국엔 파멸로 마무리 된다. 농담이지만, 산수경석 대신 '주당경석'(酒黨卿碩)이었다면 나에게 딱 맞는 사자성어가 되었으리라.(^^)

어쨌든 경찰인재개발원과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그리고 해당 지역민들께서 일심동체로 수고한 보람 덕분에 우한 교민들이 모두 건강하게 퇴소했다.

두 지역의 관계자님들과 주민 여러분들께 감사말씀 올리며 앞으로도 '산수경석'의 의미 그대로 아름답고 건강한 아산과 진천이 되길 응원한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조길형 충주시장 "도지사 출마" 선언에 지역 민심 '싸늘'
  4.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5.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1.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2.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3.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4.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5.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