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9. 거수마룡(車水馬龍)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59. 거수마룡(車水馬龍)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3-24 17:5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 이에 걸맞게(?) 춘하추동(春夏秋冬)처럼 사람 역시 십인십색(十人十色)이다. 그래서 누구는 봄을, 다른 사람은 여름 내지 가을, 심지어 겨울이 좋다는 이도 있다.

하지만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반기는 계절은 역시 봄이다. 봄은 사자성어에서도 쉬이 만날 수 있는데 먼저 사면춘풍(四面春風)이 돋보인다.

이는 사면이 봄바람이라는 뜻으로, 언제 어떠한 경우라도 좋은 낯으로만 남을 대함을 이르는 말이다. 이어 양춘방래(陽春方來=따뜻한 봄이 바야흐로 온다)와 '따뜻한 봄날에 온갖 생물이 나서 자라 흐드러짐'을 뜻하는 만화방창(萬化方暢)도 봄을 찬미하고 있다.

이와 대척점엔 두문불출(杜門不出)이 포진한다. 바야흐로 봄이 왔다. 말 그대로 '완연한 봄이 왔나봄'이다. 그러나 이 좋은 계절 봄이건만 나들이를 갈 수 없다. 여행도 마찬가지다.



코로나 사태가 드러낸 팬데믹 민낯에 우리나라 전역이 큰 시름의 먹구름에 덮여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지금 이 시간에도 봄은 오고 있다.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도 있는 법이다. 코로나 사태도 분명 종착역이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 희망을 버리지 말자! 이런 관점과 맥락에서 봄이 완연히 도착한 대전천 인근의 둔치(물가의 언덕)와 천변(냇물의 주변)을 찾아 나들이 겸 운동을 했다.

목척교를 출발지로 하여 한남대교~한밭대교까지 약 1시간을 걸었다. 대전천에 닿기 전에 들른 조그만 간이공원엔 목련꽃이 반 이상 개화해 있었다. 물가의 능수버들 또한 봄기운이 솟는지 휘영청 한껏 기지개를 펴는 듯 보였다.

대전천에서 낚시삼매경에 빠진 사람들은 마치 세월을 초월한 듯 보여 부러웠다. 저만치서 달려오는 호남선 열차는 코로나 사태를 타개할 요량인지 그야말로 전광석화로 질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루미로 보이는 녀석은 물고기를 낚을 속셈에 물에 발을 담그고 있었으며, 그러거나 말거나 수정처럼 맑은 대전천은 합류지점인 갑천을 향해 줄달음질치고 있었다.

하늘을 날던 까치가 내려와 타는 목마름을 적시는 곁에는 자전거와 도로로 산책을 즐기는 시민들의 표정이 밝았다. 이윽고 한밭대교와 오정 농수산물도매시장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코로나 사태로 요즘 다들 어렵다는데 오정 농수산물도매시장의 상인 여러분들 역시 현 위기를 어찌 극복하고 계실까 싶어 마음이 짠하였다. 돌다리를 건너노라니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는 속담이 떠올랐다.

코로나의 위기를 교훈 삼아 다시는 이런 아픔이 없길 기도했다. 착용하면 갑갑하고, 구입하기조차 어려운 마스크는 이제 그만. '완연한 봄이 왔나봄!'을 누릴 수 있는 명실상부(名實相符)의 봄을 진정 소망했다.

지금의 두문불출과 개점휴업(開店休業)을 거둬내고 대신에 그 자리를 거수마룡(車水馬龍)이 들어서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거수마룡(車水馬龍) = 수레와 말의 왕래(往來)가 많아 매우 떠들썩한 상황. 즉, 행렬이 성대(盛大)한 모양을 말함. 장사가 잘 되고 관광지에서 사람들이 많길 바라는 마음을 표현함.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3.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4.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재선출'
  5.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1. 천안교육지원청, 호우 특보 관련 비상대책회의 개최
  2. "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3. 19일까지 충청권에 180㎜ 더 퍼붓는다…침수 피해 '주의'
  4. 새솔유치원, '북적북적 BOOK 페스티벌'로 독서 문화 선도
  5. [문예공론] 점심 사냥

헤드라인 뉴스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충남권 전 지역에 호우주의보가 발효중인 가운데, 밤사이 강수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우려했던 추가 침수 피해는 가까스로 피해갔다. 그러나 서해상에서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구름대가 점차 접근하는 중으로 오늘(18) 오후부터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가 예상돼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상태다. 18일 대전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우려했던 강수는 밤사이 소강상태를 보이며 지역에 간헐적으로 비를 뿌렸다. 17일 오후 9시부터 18일 오전 8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서천 춘장대 30㎜, 연무 16㎜, 태안 14.5㎜, 부여 10.9㎜, 대전 정림 9..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