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61. 조로서도(鳥路鼠道)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61. 조로서도(鳥路鼠道)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3-2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657D23B5878D47D2BDA2D
정원의 1966년 발표앨범 '미워하지 않으리'
= "목숨 걸고 쌓아 올린 사나이의 첫사랑 ~ 글라스에 아롱진 그 님의 얼굴 ~ 피보다 진한 사랑 여자는 모르리라 ~ 눈물을 삼키며 미워하지 않으리 ~" =

지난 1966년에 발표된 가수 정원의 가요 <미워하지 않으리>다. 세월처럼 빠른 건 다시없다지만 이 곡이 나온 지도 어느새 54년이나 흘렀다. 몹시 빨리 지나가는 세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극구광음(隙駒光陰)을 새삼 논하지 않을 수 없다.

하기야 세월은 쏘아버린 화살이라고 했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미워하지 않으리>를 동원한 건 이 노래의 가사 중 '미워하지 않으리'가 맘에 든 때문이다. 근무 특성 상 주근(晝勤) 하루에 이어 야근(夜勤)을 이틀 연속 한다.

따라서 이처럼 사흘 계속 근무를 마치는 날이면 녹초와 파김치가 된다. 여기에 대근(代勤)이 하루 끼어들면 이건 그야말로 초주검이다.



직장 동료에게 대근을 부탁해야 하는 날은 무시로 닥친다. 지인의 관혼상제(冠婚喪祭)가 발생할 때가 가장 긴요하다. 그런 날에도 일(근무)을 하는 날과 맞물리면 관혼상제 장소에 갈 수 없다.

한 마디로 '사람 구실'을 못 한다. 때문에 고육책으로 대근을 부탁하는 것이다. 그리곤 다음에 똑같은 형식으로 대근을 해 주거나, 임금의 일당을 쳐서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이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는 돈이 개입되므로 가급적이면 몸으로 때우는 전자를 선호한다. 지금이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모임까지 모두 취소되었지만 이 상황이 종료되면 관혼상제와 각종의 모임(동창회.작가 회동.기자단 회의 등) 또한 지금의 봄꽃들처럼 활짝 만개할 게다.

대근은 주로 야근으로 하게 되는데 가장 힘든 시간이 이튿날 새벽이다. 가뜩이나 잠 한숨 못 자고 변변치 못한 체력으로 근근이 버티는 터다.

여기에 전날 밤 10시에 이어 오늘 새벽 4시에 다시 또 회사 건물 전체(21층) 순찰을 하자면 정말이지 KBS-TV 특선 다큐 <차마고도>에 나왔던 조로서도(鳥路鼠道)를 점철하는 양 그렇게 지치고 힘이 든다.

'차마고도'는 중국 윈난성에서 생산된 차와 소금을 티베트, 미얀마, 인도로 실어 나르는 길이(었)다. 험준하기가 이루 말할 수조차 없는데 여기에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따라붙는 게 새와 쥐만 다닐 수 있는 길이어서 사람이 다니기에는 너무도 좁고 위험한 길이라는 뜻의 '조로서도'다.

본방송에 이은 <KBS 스페셜 '차마고도' 700일간의 제작기록>을 보면 해발 4,000m가 넘는 험준한 길과 눈 덮인 5,000m 이상의 설산 등은 보는 것만으로도 다시금 아찔함을 안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의 면역력에 따라 걸리고 안 걸리는 차이가 있다고 들었다. 요즘 한창 나오는 봄나물은 보약이며, 족욕과 반신욕을 자주 하면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굳이 이런 비유의 동원이 아니더라도 요즘엔 정말이지 건강에 신경 써야 하는 즈음이다. 외출이나 나들이를 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와 손 세정제도 준비하여 건강을 도모해야 되는 즈음이다.

'눈물을 삼키며 미워하지 않으리'? 아니다. '입술을 꽉 물고 대근하지 않으리!'가 정답이다. 차마고도에서야 하는 수 없어 조로서도로 간다지만 대한민국은 그런 나라가 아니잖은가.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1.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2.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3.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4.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5. 지질자원연 탐해3호 서태평양 출항, 해저 희토류 정밀 탐사 시작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