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61. 조로서도(鳥路鼠道)

  • 문화
  •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사자성어는 삶의 이음매] 61. 조로서도(鳥路鼠道)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20-03-2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657D23B5878D47D2BDA2D
정원의 1966년 발표앨범 '미워하지 않으리'
= "목숨 걸고 쌓아 올린 사나이의 첫사랑 ~ 글라스에 아롱진 그 님의 얼굴 ~ 피보다 진한 사랑 여자는 모르리라 ~ 눈물을 삼키며 미워하지 않으리 ~" =

지난 1966년에 발표된 가수 정원의 가요 <미워하지 않으리>다. 세월처럼 빠른 건 다시없다지만 이 곡이 나온 지도 어느새 54년이나 흘렀다. 몹시 빨리 지나가는 세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극구광음(隙駒光陰)을 새삼 논하지 않을 수 없다.

하기야 세월은 쏘아버린 화살이라고 했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미워하지 않으리>를 동원한 건 이 노래의 가사 중 '미워하지 않으리'가 맘에 든 때문이다. 근무 특성 상 주근(晝勤) 하루에 이어 야근(夜勤)을 이틀 연속 한다.

따라서 이처럼 사흘 계속 근무를 마치는 날이면 녹초와 파김치가 된다. 여기에 대근(代勤)이 하루 끼어들면 이건 그야말로 초주검이다.



직장 동료에게 대근을 부탁해야 하는 날은 무시로 닥친다. 지인의 관혼상제(冠婚喪祭)가 발생할 때가 가장 긴요하다. 그런 날에도 일(근무)을 하는 날과 맞물리면 관혼상제 장소에 갈 수 없다.

한 마디로 '사람 구실'을 못 한다. 때문에 고육책으로 대근을 부탁하는 것이다. 그리곤 다음에 똑같은 형식으로 대근을 해 주거나, 임금의 일당을 쳐서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이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는 돈이 개입되므로 가급적이면 몸으로 때우는 전자를 선호한다. 지금이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모임까지 모두 취소되었지만 이 상황이 종료되면 관혼상제와 각종의 모임(동창회.작가 회동.기자단 회의 등) 또한 지금의 봄꽃들처럼 활짝 만개할 게다.

대근은 주로 야근으로 하게 되는데 가장 힘든 시간이 이튿날 새벽이다. 가뜩이나 잠 한숨 못 자고 변변치 못한 체력으로 근근이 버티는 터다.

여기에 전날 밤 10시에 이어 오늘 새벽 4시에 다시 또 회사 건물 전체(21층) 순찰을 하자면 정말이지 KBS-TV 특선 다큐 <차마고도>에 나왔던 조로서도(鳥路鼠道)를 점철하는 양 그렇게 지치고 힘이 든다.

'차마고도'는 중국 윈난성에서 생산된 차와 소금을 티베트, 미얀마, 인도로 실어 나르는 길이(었)다. 험준하기가 이루 말할 수조차 없는데 여기에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따라붙는 게 새와 쥐만 다닐 수 있는 길이어서 사람이 다니기에는 너무도 좁고 위험한 길이라는 뜻의 '조로서도'다.

본방송에 이은 <KBS 스페셜 '차마고도' 700일간의 제작기록>을 보면 해발 4,000m가 넘는 험준한 길과 눈 덮인 5,000m 이상의 설산 등은 보는 것만으로도 다시금 아찔함을 안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의 면역력에 따라 걸리고 안 걸리는 차이가 있다고 들었다. 요즘 한창 나오는 봄나물은 보약이며, 족욕과 반신욕을 자주 하면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굳이 이런 비유의 동원이 아니더라도 요즘엔 정말이지 건강에 신경 써야 하는 즈음이다. 외출이나 나들이를 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와 손 세정제도 준비하여 건강을 도모해야 되는 즈음이다.

'눈물을 삼키며 미워하지 않으리'? 아니다. '입술을 꽉 물고 대근하지 않으리!'가 정답이다. 차마고도에서야 하는 수 없어 조로서도로 간다지만 대한민국은 그런 나라가 아니잖은가.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사자성어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3.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4.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재선출'
  5.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1. 천안교육지원청, 호우 특보 관련 비상대책회의 개최
  2. "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3. 19일까지 충청권에 180㎜ 더 퍼붓는다…침수 피해 '주의'
  4. 새솔유치원, '북적북적 BOOK 페스티벌'로 독서 문화 선도
  5. [문예공론] 점심 사냥

헤드라인 뉴스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폭우 오후 다시 온다…19일 새벽까지 시간당 50㎜

충남권 전 지역에 호우주의보가 발효중인 가운데, 밤사이 강수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우려했던 추가 침수 피해는 가까스로 피해갔다. 그러나 서해상에서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구름대가 점차 접근하는 중으로 오늘(18) 오후부터 시간당 30㎜ 이상의 강한 비가 예상돼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상태다. 18일 대전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우려했던 강수는 밤사이 소강상태를 보이며 지역에 간헐적으로 비를 뿌렸다. 17일 오후 9시부터 18일 오전 8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서천 춘장대 30㎜, 연무 16㎜, 태안 14.5㎜, 부여 10.9㎜, 대전 정림 9..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