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팔불출(八不出) 연가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팔불출(八不出) 연가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 승인 2020-08-10 11:13
  • 신문게재 2020-08-11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올여름 장마는 콰이어트 플레이스(A Quiet Place) 공포영화를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기상청 일기예보를 비웃듯 6월부터 시작된 장마의 우기가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끔찍하게 전국을 유린하고 우리는 속수무책으로 장마가 끝나기만 기다렸지만, 어느새 8월이 오고야 말았습니다. 8월은 우리에게 휴가를 주는 고마운 달이지만 수마가 할퀴고 간 자연재해 앞에 망연자실한 해바라기가 고개를 숙이고 능소화 백일홍이 땀을 뻘뻘 흘리고 있습니다. 아직도 전국은 비상대기중이지만 대청호는 오랜만에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넉넉하게 담고 있습니다.

대청호는 충남 대덕(大德)의 '대(大)'와 충북 청원(淸原)의 '청(淸)'을 붙여 만들어진 인공호수로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큰 댐입니다. 대청호 오백리길은 총연장 220㎞ 27개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대전지역은 6개 구간 68.6㎞이지요. 그중 윗말뫼로 시작되는 호반낭만길 4구간 12.5㎞는 자연경관이 뛰어나 대청호 둘레길 중 으뜸입니다. 연꽃마을, 황새바위, 습지공원, 대청호생태관 그리고 카페 더리스가 있으며 2005년 '슬픈연가' 촬영지로도 유명한 곳이지요.

아내는 2년 전 첫 개인전을 열며 '화려함도 강렬함도 내 것으로 삼기에는 마음에 두지 못해 내면의 사유를 찾아가는 방법으로 수묵을 찾았고 계절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서정으로 담아 표현하였습니다. 그저 흐르는 대로 순리에 따르는 물이 좋아 오가며 만났던 대청호의 풍경을 펼쳐놓고 보니 허허로운 물과 하늘 잔잔한 수초들이 저를 많이 닮았네요.' 그렇습니다. 지천명에 만학으로 자신을 수양하기 위한 방편으로 먹빛을 처음 접하고 그 침묵의 색이 좋다던 사람이었지요. 아내는 지난 10여 년 동안 그 대청호에서 유경백별우신지(柳經百別又新枝)로 깨어나는 봄을 만났고, 월하(月河)의 밤 그 많은 그리움을 윤슬로 풀어내더니만 온종일 억새로 흔들리던 가을바람 쫓아 휘청이는 아침을 맞다가, 추소정 녹음이 절정으로 치닫는 여름날 정절처럼 소나무 하나 우뚝 새겨놓고 부소담악(芙沼潭岳)의 주인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지난 7월 24일에는 동구청에서 천야(天也) 정영미 작가의 '대청호 풍경' 기증식을 가졌었지요. 동구문화원 이전 개원 초대전에서 지역예술발전을 위해 작품 기증 의사를 밝혔던 이 작품은 동구8경 중의 하나이자 '2020년 언텍트 관광지 100선'으로 선정된 대청호 풍경을 주제로 한 500호(391.5×89.5㎝) 수묵담채화였습니다. 이날 동구청을 방문하는 동구민들과 직원들에게 이 그림이 문화예술 향유 제공의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라는 그대가 무척 자랑스러웠습니다. 대한어머니회 대전광역시회장, 동구문화원부원장, 푸른꿈어머니봉사단장, A+E 대표로 바쁜 사회 활동을 하면서도 국전초대작가가 되기까지 수행자처럼 묵묵히 예술의 길을 걸어온 그대에게 뜨거운 찬하를 보냅니다.



그러고 보니 제가 팔불출이 된 것 같습니다. 팔불출이란 인간의 홀로서기 계훈(誡訓)으로 좀 모자란 덜 떨어진 어리석은 사람을 일컫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제자랑 자식 자랑, 마누라 자랑을 하며 우쭐대는 것은 생존의 방법으로 팔불출을 권하는 시대에 우리가 살아간다는 반증이겠지요. 사실은 '아이구, 저 팔불출 같으니라고'라며 혀를 차는 사람들도 어쩌면 역설적 부러움의 표현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칭찬이나 자랑이 너무 지나치면 자화자찬의 꼴불견이 되겠지만 그래도 제 고삐를 씹는 교편지마 보다야 훨씬 낫지 않을까요.

8월의 그대에게 앤플라잉(N Flying)의 '널 위해 준비한 이 노래를 듣고 있다면 이리 와서 안겨 모두가 팔불출이라 말해도 괜찮아 널 위해서라면 Oh my girl' 팔불출의 연가를 띄워 봅니다. 그대 그림이 그리움에서 출발하고 그 그리움의 본질이 사랑이라면 퍼즐을 맞추듯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일이 세상의 빈칸을 채워가는 행복이 되었으면 합니다.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2.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3.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4.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2.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3. ‘몸짱을 위해’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대전상의-대전조달청, 공공조달제도 설명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