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로고. |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최근 진행된 고위 전략회의에서 '여론조사 50%, 권리당원 조사 50%'라는 광역·기초단체장 경선 규칙에 공감대를 확인했다. 아직 확정 단계는 아니다.
여론조사 방법으론 안심번호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안심번호는 임시로 생성한 가상번호를 여론조사기관에 제공해 여론조사를 하는 방식이다.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없어 참여율이 높은 장점을 갖고 있다.
권리당원 조사의 경우 해당 선거지역에 거주하는 권리당원 전원을 대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100만 권리당원' 목표 아래 신규 당원들이 대거 입당한 만큼 이들의 표심이 승패를 가를 것이란 분석이다.
민주당은 지방선거기획단 차원에서 관련 세부 방침을 정리할 방침이다. 이후 선거를 앞두고 구성될 중앙당과 전국 시도당 공천심사위원회에서 경선룰을 최종적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민주당이 경선룰 논의에 일찍 나선 건 출마 후보자가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선거에 임박해 경선 규칙을 정한다면 유불리를 놓고 후보 간 갈등이 격화될 수 있고, 이는 이전투구 양상으로 비칠 수 있다.
이미 대전과 충남 광역단체장 선거는 무주공산 양상으로 흘러가는 중이다. 대전은 권선택 전 시장의 중도하차로, 충남은 안희정 지사의 불출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쟁쟁한 인사들이 후보군에 이름을 올려놓은 상태다.
대전시장 후보로는 이상민, 박범계 국회의원과 허태정 유성구청장이 거론되며, 충남지사 후보엔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과 양승조 국회의원, 복기왕 아산시장 간 당내 경쟁이 예상된다.
기초단체장 경쟁은 더욱 뜨겁다. 대전에선 민주당 시의원 대부분이 기초단체장 체급 상승을 노리고 있다. 전직 시의원과 기초의원 등도 출마를 희망해 이들 사이에선 "경선이 본선보다 어렵다"는 말까지 나온다.
각 진영은 가닥을 잡은 경선룰에 맞춰 선거전을 펼칠 방침이다. 여론조사와 권리당원 비율이 50%씩 반영된다는 점에서 일반 유권자와 권리당원의 표심을 모두 잡겠다는 목표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에 광역·기초단체장 출마 희망자가 몰리다보니 중앙당이 파열음 발생을 대비해 경선 규칙을 조기에 준비하는 것 같다"며 "앞으로 후보들 간 경선을 준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