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콕 설명절 네티즌들의 선택을 받은 유튜브 영상은?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집콕 설명절 네티즌들의 선택을 받은 유튜브 영상은?

  • 승인 2021-02-12 18:45
  • 수정 2021-04-30 22:24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유튜브
유튜브 화면 캡처

사회적거리두기 방역 수칙으로 이번 명절도 집콕으로 보내고 있는 설 명절! 유튜브로 아쉬운 마음을 달래는 네티즌들은 어떤 영상을 선택했을까요? 설 연휴 이틀째 조회수로 알아본 인기 동영상을 알아보겠습니다. 

12일 오후 6시 기준 유튜브에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영상은 왕년의 농구스타 현주엽의 먹방 영상입니다. 일명 ‘주엽 레시피’로 차돌 된장찌개에 도전한 12분 분량의 영상은 업로두 하루만에 1,040,679회를 기록했습니다. 

SBS TV동물농장이 운영하는 유튜브 애니멀봐의 늑대부부의 출산 스토리도 네티즌들에게 많은 선택을 받았습니다. 출산을 앞두고 예민해진 엄마 늑대와 이를 지켜보는 남편 늑대의 이야기는 1,103,885회를 기록했습니다.

축구전문기자 한준이 전하는 축구 비하인드 스토리는 프리미어리그 FA컵 16강 에버턴 vs 토트넘 홋스퍼를 공개했습니다. 11일 업로드된 영상은 축구팬들의 폭풍 클릭을 받으며 조회수 359,978회를 기록했습니다. 

해가 바뀌어도 열기가 식지 않은 트롯열풍은 이번 설에도 어김없이 그 위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KBS 골든케이팝의 설특집 '트롯전국대잔치' 미리보기 전격 공개 예고편 영상은 업로드 이틀 만에 320,279회를 기록했습니다.

남은 설 연휴 또 어떤 동영상이 네티즌들의 선택을 받게될까요? 내년에는 집콕 명절이 아닌 가족들과 함께 지내는 명절을 기대해보겠습니다.  

금상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2.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5.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