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히 설명회, 포럼 등을 통해 지역 정치권과 지역민, 전문가들에게 내포혁신도시의 현실을 알리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 더욱 살기좋은 내포를 조성해야 한다는 게 지역사회의 중론이다.
내포신도시는 2024년까지 인구 10만의 300만평 도시 조성을 구상으로 신도시의 정주를 다지고 있는 상황이다. 충남도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내포신도시 확장 기본 구상을 통해 신도시의 위상을 위한 앞으로의 방향성을 고민 중이다. 늦어도 3월이면 용역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두고 내포신도시가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배경에 있어서 다방면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열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광역도시계획인 만큼 장기적으로 내다봐야 하고, 기능을 확고히 다지기 위해선 다방면의 고민이 담겨야 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수요조사 등을 통해 지역민들의 요구 파악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임준홍 충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주여건에는 의료시설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문화적인 측면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문화를 돈주고 사는 행위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문화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설이 생긴다면 자연스럽게 상업도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물론 지역민 요구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충남도는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들과 함께 도시 컨셉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오용준 충남연구원 박사는 "탄소중립 도시로서 내포신도시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지속가능한 신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어떤 전략들을 가지고 갈지가 중요하다"며 "내포신도시가 국가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이 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면, 여기에 정주환경 등이 따라올 수 있다"고 말했다.
내포신도시 완성 추진 대책 특별위원회(내포특위) 위원장을 맡은 이상근 충남도의원(홍성1·국민의힘)은 "양질의 공공기관이 하루빨리 내포로 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구가 늘어난다면 자연스럽게 정주여건도 개선되기 때문"이라며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주민 의견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특위는 지역민과의 꾸준한 소통은 물론 연구모임, 전문가 포럼 등을 개최해 좋은 의견을 듣고자 한다. 우리 특위는 내포신도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내포=김성현·조훈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