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포럼은 환황해권 해양문화 교류와 관광 생태계 구축, 해상풍력 확대 등 탄소중립 실천 방안을 4개국 지방정부가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지만 김 지사의 구상은 이에 그치지 않고 확장됐다. 김 지사는 "우리의 바다가 패권 다툼의 무대가 아니라 평화와 번영, 공생의 바다가 되길 희망한다"며 "동아시아의 희망찬 미래를 위해 모두가 함께 힘과 지혜를 모아가자"고 강조했다. '국제 지방정부 연합체' 창설이 평화와 번영을 모색하기 위한 것임을 밝힌 것이다.
지금 동북아 정세는 요동치고 있다. 북한과 러시아는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엔 제재를 위반하는 등 노골적으로 밀착, 한반도 안보 위협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미일은 공조 강화로 북핵 위협과 북·러 밀착에 대응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중 관계의 개선 여지가 보이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항저우 아시안 게임 참관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 한덕수 총리에게 '방한 검토'를 언급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우리나라에 중국은 최대 무역 교역국이고, 베트남은 최대 무역 흑자국이다. 김 지사의 제안이 의미가 있는 것은 4개국 지방정부 차원의 교류 확대를 통해 '평화와 번영의 씨앗'을 뿌릴 수 있다는 점이다. 제안이 선언적인 수준에 머물지 않으려면 4개국 실무협의 등 구체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 모쪼록 김 지사의 '4개국 연합체' 제안이 지방정부 차원의 새롭고 발전적인 국제교류 협력 모델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