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조선 왕실은 어떻게 보냈을까?

  • 사회/교육
  • 이슈&화제

추석연휴 조선 왕실은 어떻게 보냈을까?

  • 승인 2023-10-02 12:31
  • 수정 2024-02-06 09:02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GettyImages-jv11178889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임금이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광효전(廣孝殿)에 나아가서 추석제(秋夕祭)를 행하고 환궁하여 잔치를 베풀어 효령 대군 보를 위로하였는데, 경녕군(敬寧君) 이비·공녕군(恭寧君) 이인·신의군(愼宜君) 이인(李仁)·순평군(順平君) 이군생(李群生)·온녕군(溫寧君) 이정·의성군(誼城君) 이용·평양 부원군(平壤府院君) 조대림(趙大臨)·의산군(宜山君) 남휘(南暉)·운성군(雲城君) 박종우(朴從愚)·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파성군(坡城君) 윤우(尹愚)·판부사(判府事) 한장수(韓長壽) 등에게 명하여 잔치에 입시하게 하였으며, 밤에 이르러 비로소 파하였다.

조선이 4번째 임금 세종대왕이 추석을 맞이해 형제들과 왕실 가족들을 불러 연회를 베푸는 장면이다. 효령대군은 태종 이방원의 둘째 아들로 세종의 친형으로 후자에 기록된 경녕군, 공녕군, 신의군, 순평군, 온녕군, 의성군 등은 세종의 이복형제 또는 왕실의 가족들이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에 '추석제(秋夕祭)'라는 제사를 올렸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운영하는 조선왕조실록에는 추석이 134번 등장(국역 기준)하는데 대부분 추석 당일 오전에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명절을 보냈다. 추석제 외 특별한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오늘날처럼 휴무일로 지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다른 왕실 기록에도 추석에는 대부분 선왕의 능에 제향을 올리고 이후 왕실 가족들과 친척들이 모여 연회를 즐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세종의 선대왕 태종도 선왕에 제를 올렸다. 태종 12년 8월의 기록에는 "임금이 건원릉(健元陵)에 나아가 추석제(秋夕祭)를 행하고 돌아오는 길에 송계원(松溪院)에 이르니, 정부에서 술을 바쳤다. 드디어 매사냥을 살곶이[箭串] 교외에서 구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건원릉은 태조 이성계의 능이고 송계원은 오늘날의 중랑천을 말한다. 추석에 제사를 지내고 여유롭게 지내는 모습은 일반 백성들의 추석 풍경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ida_d033010a00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33권, 세종 8년 8월 15일 병자 1번째기사(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이미지).
나라 살림에 따라 왕실의 추석 풍경도 조금씩 달랐다. 명종 6년 8월의 기록에는 자전(慈殿:임금의 어머니)이 해마다 추석에 행해지던 연회를 흉년을 이유로 대폭 축소하고 곡연(曲宴)으로 대체할 뜻을 왕실에 전하는 기록이 나온다. '곡연'은 왕실에서 간단하게 지내는 소규모 연회를 말한다. 대비의 뜻을 받은 명종은 어머니의 뜻을 따라 곡연으로 추석을 보낸다. 명종의 어머니는 문정왕후로 명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에 오르자 한동안 수렴청정으로 권세를 누렸다.



실록에서의 마지막 추석은 일제강점기인 순종 13년의 기록이다. 실록에는 "효덕전(孝德殿)에 나아가 망제(望祭) 겸 추석제(秋夕祭)를 지내고 고유제(告由祭)의 제주(題主)를 바꾸었다. 이어 주다례(晝茶禮)와 석상식(夕上食)을 행하였다"는 짧은 기록이 남아 있다. 효덕전은 선왕 고종의 사후 신주를 모시던 사당으로 추모 기간이 끝나면 철거했다.
금상진 기자 jodp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2.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5.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