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재형 국회의원(국민의힘·서울 종로구)이 서울 종로의 '국악 등 전통문화 경쟁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가 정치생활을 하면서 뒤 늦게 얻은 답은 종로의 경쟁력인 '국악 등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서울 종로는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꼽힌다. 종로는 정치인들에겐 '정치 1번지'로, 국악인들에겐 '국악 1번지'로 통한다. 국립국악원(서울 서초구)의 전신인 이왕직 아악부(李王職雅樂部)가 바로, 종로에 위치해 있었다. 뿐만아니라 동편제 판소리의 거장 송만갑(1865~1939) 판소리 명창 등 우리나라 전설적인 국창들이 종로에서 한(恨)을 풀어낸 곳이기도 하다. 지금도 명인과 명창 등의 전수소, 그리고 국악과 관련된 연구소 및 관련 상점 등이 종로에서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한마디로 서울 종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악 등 '전통문화 1번지'인 셈이다. 그러나 종로는 정치 1번지에 묻혀, 종로의 전통문화의 경쟁력은 사실 '옛것'이 됐다. 또 국악 등 종로의 전통문화는 '그들만의 리그'가 됐다. 최근 최재형 국회의원(국민의힘·서울 종로구)이 '종로와 국악 등 전통문화'에 관심을 드러냈다. 한 정치인의 관심은 국악계에 서러움을 풀어낼 수 있는 '낯설지만 고마움', 그 차체다. 그를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만났다. 그와 1시간가량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국악 등 전통문화와 관련된 얘기는 투박했지만, 그의 얘기 속에서 진솔함이 묻어났다.
|
최재형 국회의원(국민의힘·서울 종로구)이 '최재형이 걸어온 길'이라는 책자를 보면서 종로의 전퉁문화 예산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그동안 국악인들과 만나 관련된 얘기를 한 번도 안해 본 것 같다. 앞으로 국악인뿐만 아니라 미술 등 프로 예술인들과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전통 예술인 등을 수시로 만나볼 생각입니다". 최 의원은 "당장, 국악인들과 간담회를 추진해 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어떤 단체, 어떤 누구와 만날지 아직 계획은 잡히지 않았다. 그러나 조만간 그들과 만나 그들의 생각을 들어보겠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예술인들이 갖고 있는 생각을 명확하게 이해해서 국악과 전통의 1번지인 종로를 세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
최재형 국회의원(국민의힘·서울 종로구)이 본보와 인터뷰를 하면서 큰 웃음을 보이고 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최 의원은 "종로의 가장 큰 가치는 '종로의 정책성'이라고 본다"며 "정책성을 찾기 위해선 종로의 경쟁력이 무엇인지 먼저 고민해야 한다"고 운을 뗐다. 그는 "국립국악원의 전신인 '이왕직 아악부' 등과 조선창극연구회 등이 종로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실, 아악부 등은 현재 국립국악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인줄만 알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동네, 즉 종로 이야기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동네 이야기를 '정부 기관이 알아서 하겠지'라는 생각을 그동안 갖고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우리 동네의 정책성의 핵심은 국악 등 '종로의 전통문화'의 가치였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국악 등과 관련된 상임위에서 활동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악 등 우리 동네의 이야기 즉, 종로의 전통문화를 적극 발굴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게 나의 일"이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경복궁 등 한국의 대표 문화유산이 바로 종로에 위치해 있다"며 "그래서 많은 외국인들이 종로를 찾고 있는데, 사실상 우리나라의 이미지는 우리나라의 관문인 종로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종로에는 많은 유산뿐만 아니라 먹을거리, 볼거리, 즐길거리 등도 많지만, 외국인들에게 가장 먼저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멋'이라고 생각한다. 그 멋은 국악 등 우리의 전통문화가 아닐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래서 종로를 명실상부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 1번지로 실질적으로 만들어가겠다는 게 최 의원의 새해 포부다.
|
최재형 국회의원(국민의힘·서울 종로구)이 본보 취재진과 만나, '종로와 국악'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손도언 기자 k-55son@ |
실제, 서울 종로는 우리나라의 국악의 중심지로 뽑힌다. 1994년엔 '국악로'가 지정되기도 했다. 또 2017년 12월 '우리소리도서관'을 조성하기도 했다. 국악대축제 등 사계절, 국악과 관련된 공연문화와 관련 교육 등이 끊이질 않고 있는 곳이 바로 서울 종로다.
서울지역의 한 국악인은 "판소리가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지정 20주년이었는데, 우리들끼리 20주년을 자축했다"며 "정치인들이 관심을 보였다면 '판소리 유네스코 지정 20주년'의 가치는 더 높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라도 정치인들이 국악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면 우리나라 음악은 세계인들에게 더 주목을 받을 것"이라며 "지금도 'K-국악'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속에서 우리나라 음악이 관심을 받고 있는데, 한 정치인들의 '국악 관심'은 국악판의 관심사로 떠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오는 4월 총선과 관련해, 정치 1번지인 서울 종로는 현재 여야 의원에게 빼길 수 없는 지역이다. 그야말로, '총성 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다. '종로 쟁탈전'이 시작된 터라, 최 의원 입에서 경제 등과 관련된 얘기가 아닌, '국악과 전통'이라는 단어가 나온 것은 국악계에 큰 울림으로 다가오고 있다.
서울=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