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하나시티즌, 16일 강릉시민축구단과 코리아컵 맞대결

  • 스포츠
  • 대전하나시티즌

대전하나시티즌, 16일 강릉시민축구단과 코리아컵 맞대결

  • 승인 2025-04-15 16:08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0415_강릉시민 대전 프리뷰 사진 김현욱
대전하나시티즌 김현욱.(사진=대전하나시티즌 제공)
프로축구 K리그1 선두를 달리는 대전하나시티즌이 2025 하나은행 코리아컵의 우승에 도전한다.

대전은 16일 오후 7시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2025 하나은행 코리아컵 3라운드에서 강릉시민축구단과 대결한다.

지난 시즌 K리그1 잔류한 대전은 코리아컵 3라운드부터 합류한다. 3라운드는 2라운드에서 승리한 16팀에 K리그1 8팀이 더해 24팀이 4라운드 티켓을 놓고 싸운다. 4라운드엔 K리그1 4팀(포항 스틸러스, 울산HD, 강원FC, FC서울)가 합류해 16강을 펼친다.

김도근 감독이 이끄는 강릉은 지난 시즌 K3리그에서 9위에 머물렀지만, 전국체육대회에선 준우승을 저력을 보인 바 있다. 지난 2라운드에서도 충남아산을 1-0으로 격파하고 3라운드에 올라왔다. 현재 K3리그 4경기를 치른 상황에서 2무 2패를 기록 중이다. 리그 15팀 중 13위다. 대전은 빡빡한 일정으로 인한 체력 저하 이슈를 극복하고 기세를 끌어올리겠다는 다짐을 밝히고 있다.



황선홍 감독은 서울전 무승부 이후 인터뷰를 통해 "승리하지 못한 것은 경기 운영에서 조금 미흡했던 것 같다. 이제 코리아컵, 리그 경기가 계속 이어진다"며 "공격은 공간을 만들어야 하고 수비는 공간을 지배해야 한다. 촘촘함이 원활하지 않았다. 계속 실점으로 이어진다. 개선해야 시즌을 나아가는 데 안정감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2.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5. 건양대병원, 차세대 보행 재활 로봇 활용해 스스로 걷기에 도움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