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당진소방서, 아미산서 고난도 산악 구조훈련 펼쳐 당진소방서(서장 이상권)는 9월 23일 당진 아미산에서 '2025년 가을철 산악 특별구조훈련'을 실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가을철 등산객 증가로 인한 추락·고립 등 산악사고에 대비해 팀 단위 구조역량과 장비 운용능력을 강화하고 현장 임무 분담을 체계화하기..
2025-09-25 GS EPS(주), 지역사회 맞춤형 사회공헌기금 2억2700만 원 기탁 당진시(시장 오성환)는 9월 23일 시청 7층 접견실에서 GS EPS㈜가 지역사회 돌봄 아동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2억2700만 원을 기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기탁식에는 오성환 당진시장, 전선아·심의수 당진시의원을 비롯해 GS EPS㈜ 김석환 대표이사·김응환..
2025-09-25 당진시, 열린관광지 조성사업 완료 당진시(시장 오성환)는 9월 25일 장애인·고령자·임산부 및 영유아 동반 가족 등 모두가 이동 제약 없는 관광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합덕제와 솔뫼성지 2곳 열린관광지 조성사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시는 2024년 11월 열린관광지 조성사업에 합덕제와 솔뫼성지 2곳을 최종..
2025-09-25 당진호풍 고구마약과 홈쇼핑 첫 출항 당진시(시장 오성환)는 9월 25일 지역 특산물로 육성 중인 당진호풍(품종 호풍미) 고구마가 우리나라 전통 간식인 약과로 가공돼 홈쇼핑에서 판매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26일 오후 4시 50분, 해나루한과영농조합법인(대표 권은중)은 공영홈쇼핑에서 프리미엄 당진호풍..
2025-09-24 당진시, 도비도-난지도 해양관광복합단지 조성 업무협약 체결 당진시가 도비도와 난지도 일대 해양관관복합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시는 9월 24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오성환 당진시장, 김태흠 도지사,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인장환 ㈜도비도특구개발 대표이사, 김호석 대일레저개발(주)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도비도-난지도 해..
2025-09-24 당진시,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 산업박람회 참가 당진시(시장 오성환)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정라지구에서 9월 24일부터 27일까지 4일간 열리는 '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 혁신 산업박람회'에 참가해 도시재생 주요 사업 및 성과를 알리기 위한 홍보관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국토교통부·강원도특별..
2025-09-24 국민의힘 당진당협, 강승규 도당위원장 초청 당원 교육 국민의힘 당진시 당협(위원장 정용선)은 9월 19일 강승규 충남도당위원장을 초청해 당원 교육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설악웨딩홀에서 열린 이날 당원 교육에는 당협 원로회의·고문단·시니어위원회를 비롯한 도·시 의원들과 각 읍·면·동 분회장 등 주요 당직자 100여 명..
2025-09-24 송노섭 민주당 충남혁신회의 공동대표, 트럼프 정부의 현금투자 요구 규탄 더불어민주당 충남혁신회의 송노섭<당진> 공동대표는 9월 23일 천안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 트럼프 정부가 한국에 강요하고 있는 3500억 달러(약 470조 원) 현금 투자 요구를 강력히 규탄했다. 혁신회의는 이번 요구가 국민 1인당 약 1000만 원의 부..
2025-09-23 당진시의회, 예산·결산 연구모임 중간보고회 개최 당진시의회(의장 서영훈)는 9월 22일 대회의실에서 '예산·결산 연구모임'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보고회는 조상연 대표위원을 비롯해 김명진·김덕주·한상화 연구모임 회원들과 민간전문가·공공재정연구원·시청 관계자 등 15명이 참석했다. 보고회에 앞서..
2025-09-23 어기구 의원, 해경 솜방망이 처벌과 기강해이 비판 어기구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당진<사진>)은 최근 5년간 해양경찰관의 순찰 근무 관련 징계가 단 3건에 불과했고 국민안전을 위협하는 해경의 부실한 복무점검과 솜방망이 처벌을 강력 비판했다. 어 의원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 년..
밀양시 아리랑대축제, 시민 빠진 무대 '공감 부재' 지적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유성선병원 변승원 전문의, 산부인과내시경학회 학술대회 우수상 자치경찰제 논의의 시작은..."분권에 의한 민주적 통제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