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
2025-08-28 어기구 대표발의 해양수산 민생법안 잇따라 국회 통과 국회 농해수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당진)이 대표발의 한 수산업 분야의 민생 법안이 잇따라 국회를 통과했다. 28일 어 의원에 따르면 전날 본회의에서 수산업·어촌발전기본법 개정안과 선원법 개정안이 본회의 문턱을 넘었다. 어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1999년부터..
2025-08-28 국힘 대전시당 1차 임명자 수여 "지방선거 앞으로" 국민의힘 대전시당 28일 오전 대전시당 당사에서 1차 임명장 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날 수여식에서는 시당 부위원장, 상설위원장, 특별위원장, 대변인 등 총 67명이 임명장을 받았다. 수석부위원장은 김근종 한국의료관광학회장이 맡았고 부위원장으로는 서근준 대한체육회 수석부회..
2025-08-28 국민의힘 대전시당 "정청래, 충청 철저히 패싱" 힐난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28일 전날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대전을 찾은 것과 관련 "충청 고려장이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정 대표가 영남과 호남에 대해선 지역발전특위를 구성한다고 밝혔지만, 충청권에 대해선 언급이 없었다는 중도일보 보도(28일자 1면 보도)관련해 발끈..
2025-08-27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이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순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충북이었고 충남 역시 높은 인구 순이동률을 보였다. 다만,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세종만 전입자보다 전출자 수가 많아 인구 순이동률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2025-08-27 [기고] 중국 심천을 바꾼 디자인의 힘 심천은 중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혁신도시이자 아시아 디자인의 허브도시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심천은 화웨이와 전기차 비와이디본사가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마침 대전이 과학기술혁신도시로서 디자인허브를 꿈꾸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심천산업디자인전문협회와..
2025-08-27 정청래 "尹정부 R&D예산 삭감…과학기술자 분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27일 "윤석열 (前)정부가 말도안되는 R&D예산을 삭감해 과학기술자 분노를 자아냈다"고 비판했다. 정 대표는 이날 대전 중구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대전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이재명 정부는 35조 3000억원으로 가장 많은 R&D 예산을..
2025-08-26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국민의힘 새 당 대표로 충청 재선 장동혁 의원(보령서천)이 26일 선출되면서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연내 통과 등 충청 현안 탄력이 기대된다. 장 의원의 전당대회 승리로 헌정 사상 처음으로 진보와 보수를 여야 당대표 충청 시대가 활짝 열렸기 때문이다. 장 신임..
2025-08-24 與, 특별법 속도전? 로우키? 行首완성 의지 가늠 세종시로 대통령실과 국회 완전이전을 골자로 하는 행정수도특별법에 대한 국회 심사에 돌입한 가운데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이 이에 대해 드라이브를 걸지 주목된다. 민주당의 이 법안 신속 처리 여부가 이재명 정부 출범 뒤 의문시 되는 행정수도 완성 의지를 가늠하는 변곡점으로..
2025-08-21 특별법 국토소위 회부…행정수도 완성 열차 시동 국가균형발전 백년대계이자 560만 충청인의 염원인 행정수도특별법이 21일 입법화를 위한 첫 관문인 상임위원회 소위에 회부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우리나라 정부부처 3분의 2가 집적돼 있으며 대통령실과 국회 기능 이전이 예정된..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부고] 김천호 천안시 건설도로과 자전거문화팀장 부친상 광주시, 상생카드 13% 특별할인…총 6200억원 발행 ‘인생의 수를 놓다’ 졸업식 세이브더칠드런 중부지역본부, 2025 차노을 전국투어 대전 수익금으로 지역아동센터 생활학습 환경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