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승무 교수의 행복찾기(32)]쌍륜교(雙輪橋)

  • 문화

[노승무 교수의 행복찾기(32)]쌍륜교(雙輪橋)

"밭일 갈 때는 삼륜교를 통해서 간다. 음식물 쓰레기는 쌍륜교를 건너가서 묻고"

  • 승인 2018-09-10 06:38
  • 오주영 기자오주영 기자
쌍륜교
타이어 두 개로 만든 쌍륜교 .고양이도 즐겨 건넌다.
혜은이의 '강물은 흘러갑니다 제3한강교 밑을~'이라는 노래가 오랜만에 흘러나온다. 한 땐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방송을 탔던 당대를 풍미한 유행가였다.

한강에는 다리가 몇 개나 있을까?

서울특별시민은 정답을 알려나? 하여튼 촌사람은 어림잡기가 쉽지 않다. 외관에 치우치다 붕괴한 성수대교 참사도 옛일이 되었고, 6.25 전쟁 때 폭파한 한강다리가 어느 것인지조차 아물거린다.

긴 가뭄 끝에 많은 양의 비가 쏟아져 바깥 일이 줄어드니 좀이 쑤신다.



얼마 전에 동쪽 밭과 연결한 '삼륜교(三輪橋)'는 수로 아래쪽으로 치우쳐 있어, 다리를 건너기 위해서는 경사진 길을 15m쯤 내려가야 한다. 지난 겨울 눈이 왔을 때도 그랬지만, 폭우로 인해 빗물이 도로 위로 흘러내리는 오늘도 음식물 쓰레기를 묻으러 밭에 가다가 미끄러질 뻔 했다. 아무래도 길을 가로질러 곧바로 가는 통로를 하나 더 마련해야겠다. 삼륜교를 건설하고 남은 폐타이어 한 짝을 U자관 수로에 직각으로 세우니 훌륭한 다리가 된다. 억지로 들어가는 크기였기에 성수대교 같이 무너지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다. 윗집에서 보고 있더니, 보관하고 있던 타이어 한 개를 가져와 옆으로 나란히 붙여서 넣었다.

순식간에 교량 폭이 두 배로 늘어났다. 개통식을 둘이서 했다. 타이어를 밟고 넘어가는 감촉이 부드럽다. 발바닥에 전해오는 그 알맞은 탄력은 글로는 표현이 안 되고 건너봐야만 느낄 수 있다. '밟는 순간 약간 들어갔다가, 발을 뗄 때 살짝 밀어주는….'

그 자리에서 곧바로 명명식도 거행했다. 아래 쪽 다리 이름은 타이어 세 개로 만들었기에 '삼륜교'라 했으니, 타이어 두 개로 만든 다리는 당연히 이륜교(二輪橋)이다. '이륜교'? 좀 뭔가 2% 부족한 느낌이기에 쌍륜교(雙輪橋)로 바꿨다.

밭일 갈 때는 삼륜교를 통해서 간다. 음식물 쓰레기는 쌍륜교를 건너가서 묻고. 이 짧은 수로에 다리가 두 개가 되고 보니 괜한 걱정이 든다. 남의 땅이기에 적당한 때 사붙이고 싶었는데….

땅값이 뛸 것 같다. 강남이 그랬듯이.

노승무 증명
외과 전문의인 노승무 충남대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SMR 특별법' 공방 지속… 원자력계 "탄소중립 열쇠" vs 환경단체 "에너지 전환 부정"
  2.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3.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4. [오늘과내일] 더 좋은 삶이란?
  5. 李정부 첫 조각 마무리…충청 고작 2명 홀대 심각
  1. 더불어민주당 전대주자들, '충청당심' 공략 박차
  2. 천안시, PM 견인 강화로 질서 확립 '고삐'
  3. [월요논단] 지역주택조합의 분담금 반환과 신의성실의 원칙
  4. 대전문화재단,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사회공헌활동 펼쳐
  5. 대전미술대전 무산 위기 넘기고 올 가을 정상 개최 가시화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을 위한 시대적 과제 중 하나인 대전·충남 행정통합 을 위한 특별법안이 완성됐다. 12·3 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등 정치적 격변기 속 잠시 주춤했던 이 사안이 조기 대선 이후 다시 가속페달을 밟고 있는 것이다. 14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이하 민관협)는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가칭)' 최종안을 확정했다. 민관협은 이날 완성된 법안을 이장우 대전시장과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홍..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해양수산부가 세종보다 부산에 있어야 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과 관련 충청 보수 야권이 발끈하고 나섰다. 전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오는 것이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가 내세운 해수부 부산 이전 근거는 북극항로였다. 그는 "북극항로를 둘러싸고 세계 각국이 경쟁하고 있다"며 "해수부를 거점으로 삼아 부산에서..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 활황…대전 상장기업 시총도 사상 최대

국내 증시가 연일 활황을 이어가면서 대전 상장기업의 시가총액도 매달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26포인트(0.83%) 상승한 3202.03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3200선을 넘긴 건 2021년 9월 6일(종가 3203.33) 이후 처음이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1.10포인트(0.14%) 하락한 799.37로 거래를 마쳐 희비가 엇갈렸다. 주목할 건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성장세다.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6월 기준 대전지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

  •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