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이흥규 교수, 박장현 석박사통합과정 |
KAIST 의과학대학원 이흥규 교수팀이 코로나19 중증도를 결정짓는 인자를 발견했다.
7일 KAIST에 따르면 이흥규 교수 연구팀은 호중구, 당질코르티코이드의 연관성을 밝혀 이 같은 연구 실적을 거뒀다.
의료 업계에서는 그간 코로나19 감염증이 사람마다 증상이 판이한 탓에 환자의 중증도를 판별하고 이들을 선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표적 치료제가 절실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들의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 존재하는 단일세포 유전 정보를 분석해 중증 코로나19 증상이 호중구(선천 면역세포)의 과활성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KAIST 의과학대학원 박장현 석박사통합과정 대학원생이 제1 저자로 참여했으며 논문은 국제면역학회연합에서 발간하는 면역학 전문 학술지인 '프론티어스 인 이뮤놀로지(Frontiers in Immunology)' 지난달 28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흥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코로나19의 중증도를 결정하는 바이오 마커를 발굴한 것 뿐만 아니라, 덱사메타손 등의 당질코르티코이드 억제제를 활용해 중증도를 개선할 치료제 개발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KAIST는 우리나라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기초 및 첨단과학 연구를 위해 지난 1971년 한국과학원법에 의해 설립된 과학기술특수대학이다.
지난 1989년 한국과학기술대학(KIT)과 통합되어 대전으로 이전하며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체계적인 과학영재 교육의 기반을 구축했다.
지난 1996년 테크노경영대학원이 서울캠퍼스에 설립되고, 부설 고등과학원이 설립됐다. 2004년 부설 나노종합팹센터를 설치했으며, 2009년 한국과학영재학교와 한국정보통신대학교를 통합해 현재 모습을 갖췄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