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이어 27일 대거 등교개학에 교원 업무부담 호소

  • 사회/교육
  • 교육/시험

고3 이어 27일 대거 등교개학에 교원 업무부담 호소

고3 입시 직결로 매일 등교 방침 불구
나머지 학년 여전히 격일제·격주제 등 등교안 놓고 고심
전교조 대전지부 "뭐든 학교 알아서 하라는 탁상행정"

  • 승인 2020-05-26 17:10
  • 수정 2021-05-05 16:48
  • 신문게재 2020-05-27 2면
  • 전유진 기자전유진 기자
등교 언제쯤
27일 예정대로 고2·중3, 초1~2, 유치원생이 등교개학을 맞는다. 대전에서는 지난해 기준 8만728명, 전국에서는 237만 명이 학교에 간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파를 막기 위해 대다수 학교는 학년별 격주제·격일제 등을 통해 등교하는 학생들을 최대한 분산시킨다는 방침이다.

26일 대전 교육계에 따르면 대전교육청은 각 학교에 등교 개학과 관련한 다양한 안을 제시했지만 최종적으로는 학교마다 상황에 따라 학부모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단, 중·고등학교는 학급당 28명 이상이 되면 과밀학급으로 분류해 원격수업을 병행하는 등 등교 인원이 3분의 2가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

대전에서는 대학 입시가 걸린 고3은 매일 등교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27일 등교 예정인 학생들은 학교마다 천차만별이다.

교육 당국이 학생들의 등교 개학을 놓고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지만 일선 학교에선 어떠한 안도 수용하긴 어려운 모양새다. 학생들이 마스크 상시 착용이 어렵고 학생 간 거리두기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으로 대다수 학교에선 격주·격일로 나눠서 학생들이 등교하는 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이태원발 집단감염이 가라앉지 않는 상황에서 학교 내부적으로나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등교를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탓이다.

긴급 돌봄도 사업 이름만 바꿔 계속 진행하는 상황인지라 초등 저학년 교원들은 교육뿐만 아니라 돌봄 업무에도 투입되면서 업무 과중을 호소하고 있다.

앞서 대전교육청이 학교 방역·생활지도를 지원하는 목적으로 37억 원을 투입해 유·초·중·고에 '교육활동 지원인력'을 배치한다고 밝혔지만 정작 업무 경감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분위기다. 교육활동 지원인력을 선발하고 예산을 집행하는 등 주요 업무는 모두 기존 교원이 담당하게 됐기 때문이다.

맞벌이 가정은 보육을 놓고 한계에 다다르면서 어쩔 수 없이 절반 가까이 긴급 돌봄을 이용하는 추세다. 지난 22일 자로 대전 유치원생 중 긴급 돌봄에 참여한 원생 수는 전체 2만2195명 중 1만124명으로 45.6%에 달한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지난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전교육청은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사안은 학교 자율에 맡기고, 정작 학교 자율이 필요한 사안은 지침으로 제한을 두는 엇박자를 되풀이하고 있다. 지금 교사들은 교육 활동과 방역 활동만으로도 충분히 지쳐 있다"며 "예산을 배분한 뒤 이후는 뭐든 학교가 알아서 하고 책임지라는 탁상행정이 교사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3.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4.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5.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1.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2.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3.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4. 한국영상대 학생들, 웹툰·웹소설 마케팅 현장에 뛰어들다
  5.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헤드라인 뉴스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와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상가 정상 운영을 위한 대전시민 1000여 명의 서명을 받아 대전시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고 나섰다. 비대위는 경쟁 입찰 당시 상인 대부분이 삶의 터전을 잃을까 기존보다 많게는 300% 인상된 가격으로 낙찰을 받았는데, 높은 조회수를 통해 조바심을 낼 수밖에 없도록 조작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와 대전참여연대는 2일 대전시청 북문에서 '지속 가능한 중앙로 지하상가 운영을 위한 시민참여 공청회 청구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에서 입찰을 강행한 결과 여..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