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이익공유제는 범국가적으로 추진 중인 국정과제 중 하나로서, 경영목표 달성에 공동으로 기여한 협력기업과 사전계약에 따라 사업수행에 따라 발생한 이익을 분배하는 제도다.
서부발전은 그동안 협력이익공유제 정착을 위해 협력중소기업들과 함께 회사의 전략방향과 연계한 전사적 동반성장 전략을 수립하고, 대·중소기업간 격차해소 및 상생을 위한 사업 포트폴리오 구성에 집중하는 등 성과공유 문화 정착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왔다.
서부발전이 도입한 대표적인 협력이익공유제는 ‘서비스 품질만족도 기반의 통근버스 위탁협력사 포상 모델’과 ‘상생결제 우수기업 인센티브 지급형 포상 모델’이다.
통근버스 위탁협력사 포상 모델은 안전운행 등 서비스 품질의 개선과 이로 인한 고객만족도 향상이 선순환적으로 연계되어 장기적으로는 계약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추가적인 재무성과가 창출되어 1석2조 이상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 상생결제 우수기업 인센티브 지급형 모델은 경상정비 협력기업 중 하나인 금화PSC(대표이사 김경태)에게 올 한해 총 27건에 걸쳐 499억원의 공사·용역 대가를 지급한 뒤, 금화PSC가 하위기업에게 총 21건에 걸쳐 27억원을 상생결제시스템으로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중소기업 상생의 문화 확산과 공정거래 질서 구현에 기여하고 있다.
서부발전은 협력기업인 한성더스트킹(대표 최경채)과 공동으로 협력이익 공유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으며 금화PSC도 상생결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병숙 사장은 "서부발전은 협력중소기업과의 상생경영 실천을 위해 협력기업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여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서부발전은 협력이익공유제 뿐만 아니라 해외판로 성과공유제, 다(多)자간 성과공유제, 실증시험 지원형 성과공유제를 통해 대·중소기업간 성과배분 문화 정착에도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태안=김준환 기자 kjh41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