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다문화] 베트남의 부침개‘반쎄오(Banh Xeo)’

  • 다문화신문
  • 당진

[당진다문화] 베트남의 부침개‘반쎄오(Banh Xeo)’

  • 승인 2025-06-01 14:35
  • 신문게재 2024-11-24 12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반쎄오(Banh Xeo)'는 베트남 전역에 널리 퍼져 있는 전통 요리이다. 이 요리는 주로 중부 및 남부 지방에서 즐겨 먹으며, 지역에 따라 색깔, 크기, 속 재료, 곁들이는 소스 등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반쎄오는 쌀가루를 물에 희석해 팬에 얇게 펴서 바삭해질 때까지 튀기듯 지진 음식이다. '반쎄오'라는 이름은 반죽을 팬에 부을 때 나는 지글지글 소리에서 유래되었다. 반죽을 뜨거운 기름에 붓는 순간 나는 소리가 마치 '쎄오'처럼 들려, 그때부터 이 전통 요리가 '반쎄오(Banh Xeo)'로 불리게 되었다.

반쎄오는 크게 '서부 지역' 반쎄오와 '중부 지역' 반쎄오로 나뉜다. 서부 베트남의 반쎄오는 다른 지역에 비해 얇고 크다는 특징이 있고, 중부 지역의 반쎄오는 노란색 껍질과 함께 기름진 코코넛 밀크의 향긋한 풍미가 두드러진다. 속 재료로는 보통 새우, 고기, 녹두가 들어가며, 일부 지역에서는 오리고기와 코코넛을 추가하기도 한다. 특히 중부 베트남의 반쎄오는 상추와 허브 등 다양한 야채와 함께 먹으며, 마늘과 고추를 넣은 달콤하고 새콤한 생선 소스에 찍어 먹는 것이 별미이다.

중부 지역의 반쎄오는 한국의 부침개와 비슷하다는 점에서도 흥미롭다. 가장 인기 있는 속 재료는 새우, 오징어 등 해산물이며, 겉면은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도 부드럽고 쫄깃해 식감이 매우 뛰어나다. 반쎄오는 가장자리가 뜨겁고 살짝 바삭할 때 바로 먹는 것이 가장 맛있으므로, 조리하자마자 먹는 것을 추천한다.

반쎄오는 오늘날에도 베트남 사람들에게 소박하고 정겨운 음식으로 사랑받고 있다. 반미, 소고기 국수, 구운 춘권과 더불어, 반쎄오는 많은 외국인에게도 인기 있는 베트남 요리 중 하나다. 반쎄오는 단순한 전통 음식이 아니라, 베트남 요리의 자부심이기도 하다. 베트남을 여행하게 된다면, 꼭 이 전통 반쎄오를 맛보길 강력히 추천한다.
팜홍화 명예기자(베트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2.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3.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4.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5.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1.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2.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3.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5. 자신의 금융정보 넘겨 대포 통장·폰 개설 도운 20대 실형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