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다문화] 왓 프놈: 프놈펜의 역사와 전설을 간직한 불교 사원

  • 다문화신문
  • 홍성

[홍성다문화] 왓 프놈: 프놈펜의 역사와 전설을 간직한 불교 사원

  • 승인 2025-06-01 14:43
  • 신문게재 2024-11-24 24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왓 프놈은 캄보디아 프놈펜의 중심부에 위치한 중요한 불교 사원으로, 도시의 이름이 유래된 곳입니다. 이 사원은 1373년에 건립되었으며, 프놈펜에서 가장 높은 27m의 종교 건축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펜이라는 이름의 조산사가 메콩 강을 따라 걷다가 강둑 근처에서 카키나무를 발견했고, 이웃들의 도움을 받아 나무를 뽑아 귀중한 부처상 네 개를 발견했습니다. 이 발견은 1372년에 푼제아 산의 사람들을 데려와 부처상을 모시는 사원을 짓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434년, 폰히아 얏 왕이 이곳에 도착해 도시를 건설하며 왓 프놈의 이름을 따왔습니다. 사원 단지 내부에는 폰히아 얏 왕의 유물이 보관된 큰 사리탑이 있으며, 그의 친척들을 위한 사리탑도 있습니다. 또한, 탑 내부에는 앙코르 시대의 부처상 유적이 있습니다. 왓 프놈의 탑과 사원은 1434년, 1806년, 1894년, 1926년에 여러 차례 재건되며 외관이 개선되었습니다. 이러한 재건 과정은 사원의 역사적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왓 프놈은 캄보디아의 역사와 문화적 유산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장소로, 그 유래와 전설은 많은 이들에게 흥미를 끌고 있습니다. 이 사원은 단순한 종교적 의미를 넘어 프놈펜의 역사적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전설은 왓 프놈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캄보디아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캄보디아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명예기자 앙나리(캄보디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2.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3.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4.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5.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1.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2.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3.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5. 자신의 금융정보 넘겨 대포 통장·폰 개설 도운 20대 실형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