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6 목포시, 전남도 지역경제활성화 평가 최우수상 수상 전남 목포시가 지난 13일 전남동부청사 이순신 강당에서 열린 일자리 한마당 행사에서 전남도 주관 지역경제활성화 평가결과 최우수상을 수상해 시상금 1350만원을 수여받았다. 16일 목포시에 따르면 전남도는 올 한해 22개 시군을 대상으로 우수 경제시책 발굴 및 확산을 통..
2024-12-13 신안군, 섬 겨울꽃 축제 개최 전남 신안군이 오는 13일부터 2025년 1월 12일까지 한 달간 '섬 겨울꽃 축제'를 개최한다. 13일 신안군에 따르면 1004섬 분재정원에서 개최되는 섬 겨울꽃 축제는 3km에 이르는 애기동백 숲길에 피어난 4000만 송이의 애기동백꽃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야외에..
2024-12-13 목포시, 어묵 로컬 브랜드 개발 용역 착수 전남 목포시가 지난 11일 목포어묵 세계화 기반구축 및 육성 전략사업의 도약을 위한 브랜드 개발을 위해 목포어묵 브랜드 개발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착수보고회에서는 ▲목포 어묵의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 수립 ▲마케팅 및 시장공략 방안 ▲용역의 추진방향 및 계획..
2024-12-10 신안군, 공공건축물 디자인 설계 시범 전국 최초 추진 문화예술의 섬, 사계절 꽃피는 1004섬, 색채 마케팅, 1도 1뮤지움 등 문화예술분야에 앞장서고 있는 전남 신안군이 공공건축물 분야에서도 참신하고 독창적인 디자인 설계를 위한 시범사업을 전국 최초로 추진한다. 10일 신안군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2008년부터 만..
2024-12-09 신안군, 곤충 분포 실태 학술조사 보고서 편찬 전남 신안군이 최근 지역 내 곤충 분포 실태와 효과적인 생태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신안 곤충 학술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9일 신안군에 따르면 보고서는 지역 생물다양성 보전 및 홍보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으로 2024년 조사 결과, 신안군에는 총 14목 1..
2024-12-06 목포시장애인체육회, 생활체육 저변 확대 지원사업 성료 전남 목포시장애인체육회가 최근 장애인의 생활체육 활동 활성화 및 참여기회 확대를 위한 2024년 전라남도 장애인생활체육 지원사업을 종료했다. 6일 목포시장애인체육회에 따르면 전라남도 장애인생활체육 지원사업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함께하는 어울림이 실현되는 건전한 스포..
2024-12-03 신안군, 고향사랑기부금 활용 작은 섬 정원 조성 전남 신안군이 모금된 고향사랑기부금으로 매화도(압해), 선도(지도) 등 작은 섬에 정원을 조성하고 있다. 3일 신안군에 따르면 이를 통해 변모해 가는 섬의 변화에 주민은 물론 향우민들의 관심과 호응도 커져가고 있다. 작은 도서라도 사람이 거주하면 하나의 정원을 만들어..
2024-12-02 목포시, 지방·중소도시 경제부문 1위 국토교통부 장관상 전남 목포시가 최근 국토교통부 주관의 '2024 대한민국 도시대상'에서 지방·중소도시 경제부문 1위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2일 목포시에 따르면 이로써 목포시는 '대한민국 도시대상' 5년 연속 수상의 쾌거를 이뤘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도시대상은 지..
2024-11-29 신안군, 행안부 선정 복지서비스 개선 우수상 수상 전남 신안군이 지난 28일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2024년 읍면동 복지·안전 서비스 개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해 특교세를 확보했다. 신안군은 섬 지역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사회서비스를 일반 중장년층 대상으로 확대하고 사회서비스 공급 주체의 다변화를 위..
2024-11-29 목포시, 임성지구 도시개발 한국토지주택공사 경영투자심사 통과 전남 목포 임성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지난 28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경영투자심사를 통과했다. 29일 목포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개발행위 허가 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사업이 장기화되고 특히 금년 5월 진행된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경영투자심사의 부동의 결정으로 사업..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