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7 국회 오후 5시 김여사 특검법 이어 尹대통령 탄핵안 표결 국회는 7일 오후 5시 본회의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먼저 재표결에 부친 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표결한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언론에 보낸 공지를 통해 이같은 순서로 의사일정을 확정했다고 전했다. 통상 본회의에서는 탄핵안 같은 인사에 관련한 안건을 일반..
2024-12-05 尹 탄핵안 표결 임박…地選 판세 직결? 충청 촉각 야(野) 6당 주도로 추진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임박한 가운데 전통적 캐스팅보터 지역인 충청 여야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표결 결과가 내년 본격적인 지방선거 정국 돌입을 앞두고 충청권 4개 시도지사 등이 걸린 금강벨트 초반 판세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
2024-12-04 용산發 계엄정국…충청 與野 온도차 극명 윤석열 대통령이 촉발한 '계엄 정국'이 6시간 만에 막을 내린 가운데 충청 여야가 엇갈린 반응이 감지되고 있다.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내란죄', '독재 망령' 등 표현으로 격앙된 반응으로 들끓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대부분 유구무언으로 일관하고 있는..
2024-12-04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국회 본회의 가결 국회는 4일 본회의를 열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여야 의원 재석 190명에 만장일치인 190명 찬성으로 가결됐다. 국회의장실은 "계엄해제 결의안 가결에 따라 계엄령 선포는 무효"라고 밝혔다. 계엄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이..
2024-12-04 계엄사 "국회 정당 등 모든 정치활동 금지" 윤석열 대통령이 3일 긴급 계엄을 발표한 가운데 계엄사령관인 박안수 육군참모총장(대장)이 '계엄사령부 포고령(제1호)'을 발표했다. 박 총장은 "자유대한민국 내부에 암약하고 있는 반국가세력의 대한민국 체제전복 위협으로부터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고,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2024-12-03 비상계엄 선포에 여야 긴박…의총 소집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여야가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해 조만간 입장을 밝힐 전망이다. 여야 대표들도 잇따라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
2024-12-03 尹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종북세력 척결…헌정질서 지킬것" 윤석열 대통령은 3일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에서 "종북 세력을 척결하고, 자유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 계엄을 선포한다"고 이처럼 밝혔다. 또 "이는 체제 전복을 노리는 반국가 세력의 준동으로부터 국민의 자유와 안전, 그..
2024-11-28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 "작업중지권 적극 활용"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이 28일 폭설·한파 속 작업환경이 급변할 경우 작업중지권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사장은 이날 경기도 용인시 수지정수장 고도정수처리 시설 현장을 찾아 동절기 대비 수도권 수도사업에 대한 안전을 점검한 자리..
2024-11-28 오피니언 리더 산실 미래정경아카데미 16기 수강생 모집 중부권 최대의 오피니언 리더 양성기관인 미래정경아카데미(이하 미정아)가 16기 수강생 모집에 나선다. 미정아 16기는 2025년 3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매주 목요일 대전상공회의소 2층 대회의실(대전대한방병원 옆)에서 열린다. 모집인원은 80명에서 최대 110명..
2024-11-27 충청권 4개시도 "2027 하계U대회 반드시 성공" 충청권 4개 시도가 2027년 열리는 하걔세계대학경기대회 성공 개최를 재차 다짐했다.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강창희, 이하 조직위)는 27일 대전 호텔 ICC 크리스탈볼룸에서 2024년 제2차 위원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총회는 지난 3월..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