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1 가든 디자인의 거장 황지해 작가, 청주 가드닝 페스티벌 참여 청주시 세계적인 정원 디자이너 황지해 작가가 '2025 청주 가드닝 페스티벌'에 참여한다고 11일 밝혔다. 황 작가는 영국왕립원예협회(RHS)에서 주관하는 110년 역사를 가진 세계적인 정원 박람회 영국 챌시플라워쇼에서 금상을 3회 수상한 가든 디자이너이다. 2023년..
2025-03-11 청주시 '도로명주소QR' 활용 시정 홍보 '한눈에' 청주시는 도로명주소 건물번호판에서 시정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도로명주소QR'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2022년부터 QR코드가 인쇄된 건물번호판을 배부했고, QR코드를 인식하면 112, 119 구조요청 문자 발송, 은행·통신사·카드·보험사 등 원..
2025-03-11 충북도, 초중고 학생 승마 체험 지원 충북도는 올해 초·중·고 학생과 저소득층, 다문화 가정 등 모두 235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 승마 체험'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10회에 걸쳐 운영되는 승마체험 비용은 1인당 32만원으로 보조금 22만4000원을 제외하면 체험학생은 9만6000원만 부담하면..
2025-03-11 충북교육청, '학교 교육' 전할 학부모 기자 모집 충북도교육청은 학교 교육 현장 소식을 생생히 전할 학부모 기자를 모집한다고 11일 밝혔다. 학부모 기자는 학교와 지역 교육 소식을 취재해 기사를 작성하고 교육 정책과 행사를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활동 기간은 올 5월 1일부터 내년 4월 말까지로 교육 현장을 누비고 작..
2025-03-11 충북교육문화원, 우리 학교 노래 만들기 추진 충북교육문화원이 제2의 교가를 제작하는 '우리 학교 노래 만들기 사업'을 추진한다. 11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 사업은 기존 교가의 형식을 벗어나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부를 수 있는 특색 있는 학교만의 노래를 제작한다. 노랫말은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해 창작되고 작곡..
2025-03-11 충북산림환경연구소, 반려식물 키우기 교육생 모집 충북도산림환경연구소는 '반려식물 키우기' 교육생 20명을 선착순 모집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교육은 자연과의 접촉이 줄어든 현대인들에게 반려식물을 통해 집 안에서도 자연과 교감하며 정신적인 안정과 실내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교육은 이달 27일 청주..
2025-03-10 청주시 반려동물보호센터 10월 이전 준비 '착착' 청주시가 85억1000만원을 들여 9월 준공을 목표로 반려동물보호센터 신축 이전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현 시설이 노후화 되고 유기동물 수용 가능 공간이 부족해 시설을 확장하고 현대화해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시는 흥덕구 강내면 태성리 청주하이테크밸리 내..
2025-03-10 충북도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충북도가 도내 임산부에게 친환경농산물을 지원한다. 도는 도내 임산부 3500명(8억4000만원 상당)에게 1인당 최대 24만원(보조금 80%·자부담 20%) 상당의 친환경농산물을 준다고 10일 밝혔다. 신청자격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 또는 현재 임신부..
2025-03-10 청주형 스마트팜 원예단지 조성 청주시는 청원구 내수읍 신안리 일원에 1.1ha 규모의 스마트팜 원예단지를 조성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시는 60억원을 들여 0.9ha에 원예단지 첨단 온실을, 그 외 부지에는 관리동과 부대시설을 2025년 12월 말까지 설치할 계획이다. 첨단 온실은 벤로형(Venl..
2025-03-10 청주시, 복지종사자 처우개선 앞장 청주시가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개선에 나선다. 시는 장려수당 대상 확대, 3종 휴가제 도입과 대체인력사업 추진, 상해보험 가입 지원, 심리상담·법률자문 제공 등 실질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우선 보수수준 향상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소외되는 집단이 없도록 포괄적으로..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