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3 목포시, 복지부 아동학대 예방·조기지원 시범 수행기관 선정 전남 목포시가 2025년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예방·조기지원 시범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3일 목포시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이번 사업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해 총 25개 시·군·구가 선정됐다. 목포시는 지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수행기관으..
2025-01-31 선거권 박탈·불법 급여 수수 등 대한염업조합 조합장 '비위 의혹' 대한염업조합이 오는 2월6일 제25대 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조합원들의 투표권을 무더기로 박탈해 심각한 내홍에 휩싸였다. 31일 본보 취재에 따르면 전남 목포시에 소재한 대한염업조합은 지난 20일 이사회를 통해 800여 명의 조합원 중 2023년에 조합비를 납부한 250..
2025-01-24 신안군, 햇빛연금 누적 수익액 220억 돌파 전남 신안군 햇빛연금 누적 수익액이 220억원을 넘어섰다. 30일 신안군에 따르면 햇빛연금은 2021년 첫 지급액 21억원으로 시작하여 매년 급격히 증가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2025년에는 120억원 시대를 열고, 2026년부터는..
2025-01-24 박홍률 목포시장, 전통시장 7개소 격려 방문 박홍률 목포시장이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설 연휴를 앞두고 전통시장을 찾아 항동시장, 중앙식료시장, 동부시장, 자유시장, 신중앙시장, 청호시장 등 전통시장을 순회하며 상인들을 격려하고 고충을 들었다. 박 시장은 "경기 침체로 위축된 지역 경기가 민족 최대 명절인 설..
2025-01-24 신안군, 도초면 청년 임대주택·공동이용시설 조성 전남 신안군이 농림축산식품부의 공모사업인 '청년농촌보금자리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돼 30여 가구의 청년 임대주택과 커뮤니티시설 등 복합 주거 단지를 조성한다. 30일 신안군에 따르면 '청년농촌보금자리 조성사업'은 도초면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264억원)과 연계해 추..
2025-01-23 신안군, 청년 임대주택·공동이용시설 조성 전남 신안군이 농림축산식품부의 공모사업인 '청년농촌보금자리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돼 30여 가구의 청년 임대주택과 커뮤니티시설 등 복합 주거 단지를 조성한다. 23일 신안군에 따르면 '청년농촌보금자리 조성사업'은 도초면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264억원)과 연계해 추..
2025-01-22 주민 직접 운영 신안군 반월도 카페 연매출 1억 연간 4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남 신안군 대표 관광지 퍼플섬 반월도에서 마을 주민들이 운영하고 있는 아담한 반월카페가 연매출 1억원이 넘는 고소득을 올리고 있다. 22일 신안군에 따르면 카페는 반월-박지도를 연결하는 퍼플교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난 2019년..
2025-01-21 목포시, 김 수출액 역대 최고 기록...전국 1위 전남 목포시가 지난해 김제품 수출액 1억3308만 달러(한화 약 2000억원)를 기록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김 수출 전국 1위를 달성했다. 21일 목포시에 따르면 이는 2023년 대비 71% 증가한 금액으로, 꾸준한 성장을 통해 달성한 뜻깊은 결과이다. 시는..
2025-01-20 신안군, 팀장급 이상 공무원 섬 방문 소통 행정 전남 신안군이 팀장급 이상 공무원의 적극적인 섬 방문을 통해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다. 20일 신안군에 따르면 박우량 신안군수는 최근 주간업무보고회에서 팀장급 이상을 대상으로 신안군 내 작은 섬 방문 챌린지를 공..
2025-01-20 목포시, 관내 여행업체 홍보마케팅 긴급 지원 전남 목포시가 관광업계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내 여행업체를 대상으로 '여행사 홍보마케팅 긴급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20일 목포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을 통해 여행업체당 최대 300만 원의 홍보마케팅 비용을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2024년 12월 말 기준 목포시에..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