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세종대왕 나신날' 국가기념일, 세종에서 한글사랑 확산 '세종대왕 나신 날'인 5월 15일 국가기념일 지정 첫해를 맞아 세종시에서 기념식이 열려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과 한글 사랑을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세종시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15일 한솔동 한글사랑거리에서 제628돌 세종대왕 나신 날 행사를 가졌다. 이날 행사는..
2025-05-15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 세종시에 둥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가 세종시에 둥지를 튼다. 세종시는 6월 중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단과 유치 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는 올해 신설된 국립청년예술단체로, 지휘자와 시즌단원 50..
2025-05-15 6월 1일부터 여민전 충전방식 오픈뱅킹으로 전환 세종시는 지역사랑상품권 '여민전'의 충전 방식을 6월 1일부터 오픈뱅킹 기반으로 전면 전환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이용자 편의성 강화와 시스템 안정성 향상을 위해 추진됐다. 특히 앱 연결 가능 금융사를 기존 21개에서 47개로 대폭 늘려 연결 접근성을 높였다..
2025-05-14 권계철 세종충남대병원장, 대한수혈학회 적십자 공로상 수상 권계철(사진) 세종충남대병원장이 13~14일 이틀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5년 제44차 대한수혈학회 학술대회에서 적십자 공로상을 수상했다. 권계철 원장은 대한수혈학회 발전 공로 및 수혈의학 분야의 많은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혈액사업의 발전을..
2025-05-14 수공 금강유역본부, 미호강 플로깅 행사 참여 한국수자원공사(K-water) 금강유역본부(본부장 이종식)는 청주권지사와 함께 14일 충북 청주시 문암생태공원에서 진행된 2025년 세계환경의날 기념 미호강 플로깅 행사에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 '을 주제로 금강유역환경청이 주관했으며 K-water..
2025-05-14 세종시, 야경과 함께 즐기는 음악분수 재가동 세종시 도심하천인 방축전과 삼성천에서 다채로운 빛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음악분수가 재가동된다. 세종시는 5월 15일부터 오는 10월 15일까지 방축천과 삼성천 음악분수 운영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올해 음악분수는 시민들의 호응에 힘입어 주말 운영 횟수를 기존 1회에서 2회..
2025-05-13 독서로 만나는 세종대왕 애민정신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독서로 만날 수 있게 됐다. 세종시는 '제628돌 세종대왕 나신 날'을 맞아 애민과 창조 정신을 기리기 위해 다채로운 독서문화 행사를 갖는다고 13일 밝혔다. 행사는 남녀노소 참여할 수 있는 체험·전시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준비됐다. 전시 행사에는..
2025-05-13 세종시,행정수도 완성 국민공감대 확산 나서 세종시가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본격적인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나섰다. 세종시는 5월까지 '행정수도 완성 범국민 100만 서명운동'의 집중홍보 기간으로 정하고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범국민 동의와 공감을 이끌어 낼 계획이다. 세종사랑 시민연합회가 4월 23일 공식 발표한..
2025-05-13 세종시,영구 불임 예상자에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 세종시는 의학적 사유로 향후 임신·출산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시민에게 생식세포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한다. 시는 4월 28일부터 신규사업으로 '영구 불임 예상 난자·정자 냉동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의료행위로 인한 생식기능 손상으로 영구 불임이 예상되는..
2025-05-12 세종충남대병원, 제21대 대통령 선거일 ‘외래 정상 진료’ 세종충남대병원(원장 권계철)은 제 21대 대통령 선거일로 임시공휴일인 6월 3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외래 진료를 정상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는 오는 6월 6일이 현충일이어서 잇따른 공휴일인 점도 고려됐으며 의료 접근성 저하로 인한 지역사회 의료공..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