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4 완주군, 정치권·기업·학교 협력 수소 인력양성 전북 완주군이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전북대학교,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수소에너지고등학교와 지난 3일 전북대학교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수소산업분야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상호 교류·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유희태 완주군수,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안..
2025-02-03 남원시, 지자체 최초 '퀵스타트 사업' 올해 본격 가동 전북 남원시가 지자체 최초로 기업 유치와 인력난 해소를 위해 '남원형 퀵스타트(Quick Start)' 사업을 지난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본격 추진한다. 3일 남원시에 따르면 '남원형 퀵스타트 사업'은 미국 조지아주의 기업투자 유치 정책인 퀵스타트 프로그램을..
2025-02-03 민선 8기 순창군 공약이행률 87.5% 전북 순창군 민선 8기 최영일 호의 공약 이행률이 87.5%를 달성하며 순조로운 군정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3일 순창군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공약사업 이행상황을 점검한 결과, 총 5개 분야 79개 공약사업 중 52개 사업이 완료되었고, 27개 사업이 정상 추진..
2025-02-03 진안군, 상습 침수지역 해소 배수개선 사업비 66억 확보 전북 진안군이 백운면 백운지구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배수 개선 사업의 대상으로 선정돼 국비 66억원을 확보했다. 3일 진안군에 따르면 배수 개선은 지대가 낮거나 하천 인근에 위치해 상습적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농경지를 개선함으로써 상습 침수 지역의 피해를 해소하..
2025-02-03 익산시, 귀농·귀촌인 정착 주거 환경 개선 지원 전북 익산시가 주거 환경 개선으로 농촌 활성화와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한다. 3일 익산시에 따르면 오는 21일까지 농촌주택개량사업 참여자 21가구를 모집한다. 지원대상은 농촌지역에서 본인 소유의 노후·불량 주택을 개량하거나 주택을 근로자 숙소로 사용하려는..
2025-02-03 전북자치도, 건축행정·지역혁신 성과 3관왕 달성 전북특별자치도가 최근 2024년도 정부 평가에서 건축행정과 지역 혁신 성과를 인정받아 3관왕의 영예를 달성했다. 3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건축행정 평가 특별 부문 우수기관 선정과 더불어, 행정안전부로부터 빈집 정비 및 재생과 옥외광고문화 정착 우수기관으로..
2025-02-03 완주군, 노인맞춤돌봄 생활지원사 활동비 인상 전북 완주군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 활동비를 월 10만원에서 월 20만원으로 인상했다. 3일 완주군에 따르면 생활지원사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활동비를 인상해 서비스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완주군의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홀몸노인과 취약계층 어르신들이 안정적이고..
2025-02-03 전주시, 미취업 청년 구직 활동 수당 지원 전북 전주시가 미취업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구직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올해도 활동 수당을 지급한다. 3일 전주시에 따르면 시는 3일부터 오는 28일까지 미취업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구직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참여자를 공개 모집한다...
2025-01-31 전북자치도, 전국 최초 공수의 자체 위촉 전북특별자치도가 전국 최초로 축산물 위생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공수의(도축검사관)를 자체 위촉하며, 지역 내 축산물 안전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장을 열었다. 31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공수의'는 민간 수의사 중 가축방역 및 축산물 위생 분야에서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2025-01-31 장수군, 경로당 282개소 간식비 추가 지원 전북 장수군이 경로당 주5일 식사 제공의 단계적 확대를 위해 관내 경로당 282개소에 간식비를 추가지원 하는 등 경로당 운영지원을 한층 강화한다. 31일 장수군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3월 열린 노인 민생토론회에서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위한 대책으로..
노은도매시장 중도매인 23명 영업정지… 점포 허용면적 20년 갈등 '수면 위' 교통편의 문제삼아 대전 투석전문의 징계 예고한 신장학회 '취약환자 어쩌나' [2026 수시특집] 충남대 3357명 선발… 지역인재전형 확대, 수능최저 완화 [사설] 대산석유화학 위기, 정부 지원 속도내야 고교학점제 도입 후 학교 현장 혼란에 교사 "전면 재검토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