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3 청양군, 대형 건축물 저수조 설치 신고 당부 청양군이 7월 16일까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설치된 저수조에 대한 설치 현황을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23일 군에 따르면 2024년 7월 17일 개정·시행된 ‘수도법’에 따라 신규 저수조는 설치일로부터 30일 이내, 기존 설치 저수조는 7월 16일까지 설치..
2025-06-22 청양군, 주민참여예산학교 확대 운영 청양군이 주민의 예산편성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주민참여예산학교 운영 횟수를 기존 2회에서 6회로 늘린다. 20일 군에 따르면 이번 확대 운영은 더 많은 군민이 예산편성 과정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이해도를 높이이기 위해 마련됐다. 주민참여예산..
2025-06-22 청양군,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6종 추가 청양군이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의 다양화와 품질 향상을 위해 신규 공급업체 1곳과 품목 6종을 추가 선정했다. 군은 17일 답례품선정위원회 심의를 통해 '청양더한우' 브랜드 육류 제품 5종(삼겹살·목살·한돈세트·한우 국거리·한우 꽃등심)과 막걸리를 새롭게 선정했다.〈사진..
2025-06-22 청양사랑인재육성장학회, 미래 인재 201명에 장학금 전달 청양사랑인재육성장학회(이사장 김돈곤)가 20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장학증서 수여식'을 열고 지역 인재 201명에게 총 1억 5073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했다.〈사진〉 이날 장학위원장인 윤여권 부군수와 김기준 의장, 농협 청양군지부장이 장학생 대표 45명에게..
2025-06-22 청양 ‘어쩌다로컬’ 벤치마킹 잇따라···고추빵 성공사례 전국 확산 청양군이 발굴한 사회적경제기업 '협동조합 어쩌다로컬'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지자체의 방문이 잇따르고 있다.〈사진〉 전남 여수시의회와 강원도 삼척시가 각각 18일과 19일 청양을 방문해 청년 창업 기업의 정착과 성장 전략을 공유했다. 앞서 경남 진주시와 충북..
2025-06-22 청양군, ‘칠갑문화센터’ 준공···지역 공동체 활성화 기반 마련 청양군이‘칠갑문화센터’를 준공하고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20일 열린 준공식에는 김돈곤 군수와 김기준 의장, 기관·단체장, 대치면 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대치면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조성한 칠갑문화센터는 지상 1층, 총면적 62..
2025-06-19 청양군자원봉사센터, 청송 화재 복구 지원 공로로 도지사 표창 청양군자원봉사센터가 18일 충남도청에서 열린 '힘쎈충남 안전비전 2040 선포식'에서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사진〉 이날 선포식은 충남도가 2040년까지 추진하는 중장기 재난 대응·안전 정책 발표와 민관 협력을 통한 안전 충남 실현을 다짐하는 자리로 김태흠 지사와 도내..
2025-06-19 청양 청소년문화의집, 세대통합프로그램 운영 청양 청소년문화의집이 20일부터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청양중 학생들과 노인종합복지관 어르신 등 14명이 참여하며 총 6회에 걸쳐 진행한다. 주요 활동은 청양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보드게임 제작과 보드게임을 활용한 봉사활동 등이다. 청소년문화의..
2025-06-19 청양군, 푸드플랜 홍보교육관 개관···먹거리종합타운 완성 청양군이 18일 푸드플랜 홍보교육관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사진〉 군은 이로써 먹거리종합타운(대치면 탄정리) 조성을 마무리하고 푸드플랜 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푸드플랜 홍보교육관은 청양군 먹거리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농업인을 위한..
2025-06-19 청양 ‘서울 싱싱 목요장터’ 인기몰이···도심 직거래 상생 모델로 정착 청양군이 서울 신도림에서 운영 중인 '서울 싱싱 직거래 목요장터'가 소비자의 꾸준한 호응 속에 인기 직거래 장터로 자리 잡고 있다.〈사진〉 19일 열린 5회차 장터에서는 청양 햇마늘 특별 할인전이 소비자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햇마늘은 시중가보다 30% 이상 저렴한 가..
행정수도특별법 드디어 국회 심사 돌입…충청 총력전 시급 국정과제 포함된 2차 공공기관 이전… 충남도 유치 재시동 충남건설본부-전문건설업계 상생발전 방안 모색 수강 안한 의대생 위해 학칙 개정?… 개강 앞둔 지역 의대 구제 방안 고심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개별1:1 지원서비스 제공지관 역량강화 특강